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비와 눈이 동시에 오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겨울철에 눈과 비가 동시에 오는 것은

제법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인데

하늘에서 눈과 비가 같이 내리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눈구름과 비구름이 다른데 어떻게 눈과 비가 동시에 내릴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럭스마가린
      럭스마가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비와눈이내리는이유는요.지구의 있던 수증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모이게 되는데 이것을 구름이라고 합니다.

      근데 그 구름이 무거워지면 수증기가 비가 되어 내립니다.그런데 날씨가 추우면 그 구름에 있던 수증기가 얼어서 눈이 내리게되는겁니다 눈과비가 같아 내리는 이유는 중간에 비가 얼은 부위와 얼지 않은 부위가 같이 내리는 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구름과 눈구름은 상층의 온도가 얼마나 차가운 공기를 만났냐에 달려 있습니다.

      영하30도이상의 차가운 공기가 상층을 덮고 있다면 구름속의 미세물방울은 모두 얼게 되어 눈이되고 이것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눈이 됩니다.

      눈이되어 내려오다가 따뜻한 기류를 만나게 되면 내려오던 일부 눈이 녹아 물방울이 되어 눈과 비가 섞여서 내려오게 됩니다. 즉 구름아래에 있는 대기의 영향입니다.

    •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어느정도 덩치가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눈으로 떨어지다가 온도가 높아지면 눈이 녹아내려 비로 내릴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