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포근한바구미290
포근한바구미290

문의드려요 이게 무슨 결과의 뜻인지 영문으로 되어 있어서 모르겠어요

성별
여성
나이대
70

L2-L3 T-SCORE = -1.5가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상급병원 몇 군데를 알아보고 있는데

상급->상급 외래상담을 받고 싶은데요.

6월 둘째주에

(초음파,조직검사)한 결과지 그리고 영상 CD, 각각 검사했던 결과지만 가져가서

외래 상담만 가능한가요? 아니면 또 새로갈 상급병원에 가면 초음파랑 조직검사 다시 해야 되나요?

검사결과지 세부적으로 다 가져갈건데, 이걸 판독하시고 상담만이라도 불가능할까요?

수술을 잡아야 피검사,소변검사,시티,골밀도,심전도 검사하는걸로 알고있는데

그냥 상담으로 어떤 판단과 결과로 수술하면 좋을지 그것만 이야기 듣고 싶거든요.

근데도 새로운 상급병원 갈때마다 이 모든검사를 다 해야 할까요? 결과지 다 들고가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를 받으신 것 같습니다. 요추2번~3번의 평균 골다공증 수치가 -1.5로 골감소증이 있는 상태입니다.

    검사 받은 의료기관에서 처치가 불가능하거나 좀 더 정밀검사가 필요한 경우 등에서 상급 병원으로 진료 의뢰가 되며, 이전 검사와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대부분 필요합니다.

    그러나 진료 후 이러한 추가검사 여부가 결정되므로 진료시 현 상태, 향후 검사와 치료 계획에 대해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

  • L2-L3의 T-score -1.5는 요추 2번과 3번 사이 골밀도 검사 결과, 젊고 건강한 성인의 평균치에 비해 1.5 표준편차만큼 낮음을 의미합니다. T-score가 -1.0에서 -2.5 사이인 경우 '골감소증'으로 판정하며, 골다공증의 전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타 병원으로 전원 시, 기존에 시행한 검사 결과를 지참하면 추가 검사 없이 상담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초음파, 조직검사 결과와 영상 자료 등을 총망라하여 가져가시면, 주치의가 판독 및 진료 기록 검토를 통해 수술 방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암 수술의 경우, 전신 마취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본 검사(혈액, 소변, 흉부 X-ray, 심전도 등)는 해당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수술 방법이나 재건 여부 등에 따라 추가적인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골밀도 검사를 하신듯합니다.

    L은 lumbar의 약자로 요추를 의미합니다. 요추 2번과 3번 두개 척추를 기준으로 골밀도를 측정하면 -1.5 라는 의미입니다.

    골밀도를 볼 때 T-score가 있고 Z-score가 있는데 T는 젊은 척추를 기준점으로 검사자 뼈 상태를 구하는거고, Z는 환자의 나이와 비슷한 연령대에서의 뼈상태가 표준편차 어디에 속해있는지를 본겁니다.

    고령에서 골다공증의 기준은 T-score -2.5이하, 골감소증은 T-score -1.0 이하입니다.

    L2-L3 T-SCORE = -1.5 는 요추 2, 3번의 골밀도 평균이 젊은 척추의 골밀도를 기준으로 -1.5 표준편차 (시그마, σ)에 위치해있다는 의미이겠습니다. 골감소증에 해당합니다.

    상급병워에서 상급병원으로 진료를 옮겨가실때도 진료의뢰서가 필요합니다. 타병원에서 상급병원으로 진료를 보러 가려면 진료의뢰서가 필요한거죠.

    이미 해놓은 검사지를 바탕으로 진료를 봐주실수도 있고 새로 검사를 해야한다고 이야기하실수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타병워에서 했던 검사를 다시 시행하지 않는 편인데 교수님들의 성향이나 필요에 따라 검사를 다시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L2-L3 T-score = -1.5는 뼈의 밀도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T-score는 뼈의 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정상 범위는 -1.0 이상입니다. -1.5는 골밀도가 감소되어 골감소증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골다공증의 진단 기준은 -2.5 이하입니다.

    상급병원에서 외래 상담을 받으려면, 6월 둘째 주에 시행한 초음파와 조직검사 결과지, 영상 CD 등을 가지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자료들은 새로운 병원의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상급병원에서는 환자가 기존에 받은 검사 결과를 가지고 상담을 진행할 수 있지만, 병원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해당 병원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