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전환사채관련 질문 드려봅니다.
해당 종목의 주가가 빠져서 전환사채의 전환가액이 하향 조정된 상태에서 주가가 다시 오르면 전환가액도 다시 상승 조정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Convertible Bond)는 사채 발행 시 정해진 전환가액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진 채권입니다. 주가가 하락하여 전환가액이 하향 조정된 상황이라면, 이는 전환가액 조정 조항(리픽싱)에 의한 것입니다. 리픽싱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주가 하락 시 전환가액을 낮춰주는 제도인데, 대부분 초기 전환가액의 일정 비율(예: 70%)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 제한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환가액이 하향 조정된 이후 주가가 다시 상승한다고 해서 전환가액이 자동으로 상향 조정되지는 않습니다. 전환가액은 주가 하락에 따라 조정되는 반면, 주가 상승 시 조정하는 규정은 보통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가 상승이 전환사채의 전환가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다만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훨씬 높아지면 전환권 행사 가능성이 증가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환가액은 하향 조정 후 다시 상승 조정되지 않으며, 주가 상승은 투자자의 전환권 행사 매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전환사채 관련된 내용입니다.
예, 말씀대로 주가가 다시 오르게 되면
전환가액 자체도 다시 상승 조정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전환사채의 전환가액은 주가 하락 시 하향 조정되지만, 주가가 다시 상승한다고 해서 무조건 상향 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전환가액 조정은 계약서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이루어지며, 주가 상승만으로는 조정 사유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닙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에 따르면 전환사채 전환 가격은 주가가 내려갔을 때는 하향 조정되지만 주가가 다시 상승한다고 해서 상승 조정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전환가액은 주식의 상승에 영향을 받아 상향 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전환가액 조정은 무한정 조정될수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