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고상한부전나비198
고상한부전나비198

(중증)근무력증 피검사 수치 확인 어떻게 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3
기저질환
갑상선항진증
복용중인 약
메티마졸

안녕하세요,

저는 약 5년정도 갑상선항진증이 있어온 상태이고 최근 한달전부터 근무력증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어 병원 내원전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근무력증 판단여부중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라는것이 있다고 하던데, 제가 여태까지 받아왔던 피검사 항목중 해당 항목이 있을까하여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이때 피검사 항목명?이 어떻게 될까요??

갑상선 피검사시 t3, free t4, tsh 등과 같은 항목명 처럼요-

빠른 답변 주신다면 정말 많은 도움 될것 같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근무력증 의심 증상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근무력증, 특히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 진단에 사용되는 주요 피검사는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중증근무력증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검사에서 이 항목은 보통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또는 'AChR Antibody'로 명시됩니다. 이 검사는 혈액 샘플을 통해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으로,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상당수에서 이 항체가 검출됩니다.

      그러나 모든 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이 항체가 검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MuSK 항체(Myasthenia Gravis-specific kinase antibody)' 검사도 함께 실시되며, 이는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가 검출되지 않는 환자에게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