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수려한집게벌레191
수려한집게벌레191

날씨가 흐리고 기온이 낮아지면 진눈깨비가 내릴 때가 있잖아요? 진눈깨비가 정확이 무엇인가요?

오늘처럼 날씨가 흐리고 기온이 낮아지면 진눈깨비가 내릴 때가 있잖아요? 진눈깨비가 정확이 무엇인가요? 또한, 어떤 상황이 되어야 내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눈깨비는 눈과 비가 섞여서 내리는 형태의 강수로서 공기의 온도와 기압조건이 미세하게 조화를 이루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요~완전히 녹은 물방울의 형태가 아니라 약간 얼어 있는 눈 결정이나 얼음 알갱이를 의미합니다! 진눈깨비가 만드렁지기 위해선 지표면의 온도가 0도 근처에 있꺼나 약간 높을때 진눈깨비가 잘 형성됩니다. 대게 0~2도정도의 범위여야 하지요! 대기 상층부는 눈이 형성되기에 충분히 차가운 상태여야 하며 구름 속에서 물방울이 얼어 눈 결정으로 변하고 하강하면서 일부는 녹고 일부는 얼음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따뜻한 공기층과 차가운 공기층이 번갈아 존재하면서 발생하게 되지요! 비가내릴때만큼은 따뜻하지도 않고, 눈이 완전히 유지될 만큼 차갑지도 않은 경우 진눈깨비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흐리고 바람이 적거나 지면에서 냉각이 진행중인 날에 더 자주 발생할수 있께 됩니다!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층 위로 상승하면서 강수가 비에서 눈으로 전환되거나 반대가 되면 진눈깨비가 나타나며 진눈깨비가 내리면 교통상황이 매우 힘들어질수 있끼에 조심하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