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마다 연금저축계좌의 차이가 있나요?
현재 증권사에서 연금저축계좌에 etf를 모으고 있습니다. 근데 etf마다 운영수수료가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증권사마다 연금저축계좌의 차이점이 있나요? 아니면 뭐 삼성증권이나 미래에셋증권이나 연금저축계좌는 모두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증권사마다 연금저축 계좌의 차이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인 조건들은 증권사가 다르더라도
차이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 구조는 동일하지만 수수료 ETF 선택 폭, 앱 편의성이 다릅니다. 삼성증권은 안정형, 미래에셋은 ETF 다양성, 키움은 낮은 수수료로 평가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세금 혜택이나 한도, 중도해지 세금 부과 등 기본적인 연금계좌의 구조는 같습니다.
다른 점은 어떤 투자상품을 할지 정할 수 있으며 매매 수수료, 해외etf 투자여부 등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etf의 경우에는 그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였을떄에도 유사한 내용이겠지만, 운용하는 증권사에 따라서 운용수수료, 판매수수료가 조금씩 다르게 제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나 혜택이 다를 수도 있고요. 다만 국가에서 법적으로 만들어 놓은 기준인 납입한도나 인출에 따른 세금 부과 등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별 연금저축계좌는 제공하는 투자 상품의 라인업과 운용 수수료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증권사마다 투자할 수 있는 ETF, 펀드, 리츠 등의 종류와 개수가 다르므로, 투자하고 싶은 상품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계좌 운용 수수료나 이벤트 여부도 다를 수 있어 수익률을 극대화하려면 꼼꼼히 비교 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별 연금저축계좌는 기본 세제 혜택은 동일하나, 계좌 운용/관리 수수료, 취급하는 ETF/펀드 라인업의 다양성, 그리고 모바일 앱의 사용자 편의성에서 차이가 납니다.
ETF 자체의 운용보수는 어느 증권사에서 매수하든 동일합니다. 대형 증권사들 예를들어 삼성 or 미래에셋은 상품 구성은 비슷하므로, 주로 수수료 면제 여부와 MTS 사용 편리성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별로 기본적인 세제 혜택과 법적 기능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투자자가 체감하는 차이점은
etf펀드 매매 수수로율이 다릅니다. 대부분 수수료를 낮추거나 면제하는 이벤트를 자주 진행하니 비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계좌 이전 금액에 따라서 캐시백 상품권 지급 등의 이벤트를 진행하는데 이 이벤트에서 가장 크게 차이가 난다고 느낍니다 . 계좌 내에서도 거래 가능한 펀드 종류가 증권사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자체의 운용 수수료가 다른 것은 맞지만, 증권사마다 연금저축계좌의 기본적인 세금 혜택이나 제도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연금저축의 세액 공제 혜택이나 과세 이연 등의 큰 틀은 어느 증권사를 이용하시든 차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