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강직은 무조건 질병의 증상인가요?
어제부터 자고 일어나면 왼손 중지약지소지가 접었다 폈다가 장난감로봇처럼 뚝뚝 끊기다가 1시간 전후 지나면 괜찮아져요 검색해보니 류마티스나 다른 병들 징후라던데 조조강직이 있으면 무조건 예삿일이 아닌 건가요?
또 진단을 위해 동네 정형외과 전문의보다 거리가 먼 타지역 류마티스내과 전문의에게 가는 것이 나을까요?
조조강직이 있으면 보통 류마티스 질환 같은 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해보아야 하는 소견입니다. 무조건 질병이 있다 없다를 판단할 근거가 되는 증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질병의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하고 정밀하게 검사 받아보아야 하는 검사입니다. 관련하여서는 류마티스 쪽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가락이나 다른 관절 부위가 뻣뻣하게 느껴져서 움직이기 어려울 때, 이러한 증상을 '조조강직'이라고 합니다. 조조강직은 일반적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또는 오랜 시간 한 자세로 있었을 때 발생하며, 특히 1시간 이상 지속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특정 질환의 증상인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조조강직이 나타나는 주요 질환 중 하나는 류마티스 관절염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원인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관절 주변의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관절 주변의 연골과 뼈에 염증이 퍼져 관절 파괴와 변형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에서 조조강직은 주로 손가락에서 시작되며, 손목 및 발가락 관절 등으로 확대됩니다. 조조강직이 기상 후 최소 30분에서 1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피로, 식욕 부진, 무기력 등의 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근육통은 전신적으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 중 하나로,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높고 여성에서 더 자주 나타나며 전체 인구의 1~4%에서 발생합니다. 이 질환 역시 조조강직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비교하여 조조강직이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향이 강하며, 피로, 전신 통증, 수면 장애, 감각 이상, 두통, 불안증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조조강직을 동반하는 질환으로는 강직성 척추염이 있으며, 척추에 염증이 생겨 척추 마디가 굳어지는 만성적인 척추관절병증입니다. 이 질환에서는 조조강직 외에도 허리 강직감과 통증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쇼그렌 증후군도 언급할 만한데, 이 질환은 신체 외분비샘의 기능이 감소하여 입과 눈이 매우 건조해지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이며,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쇼그렌 증후군은 주로 신체 건조증상이 더 두드러지므로 조조강직만으로 이 질환을 의심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무조건이라는 것은 없습니다만, 증상이 있으시다면 류마티스내과 전문의 진료를 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형외과 는 염증성 관절염을 전문으로 보지 않으니 류마티스내과가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보통은 양측으로 증상이 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류마티스 내과 진료가 좋으나 일단은 가까운 곳 진료도 괜찮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
조조강직이 있다고해서 무조건 질병을 진단하는것은 아니니, 일단 류마티스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간단한 피검사부터 엑스레이 검사 등 여러가지 소견을 종합해서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