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디락스시대란 무엇이며, 언제를 지칭하는것인가요?
경제에서 골디락스라는 용어가 있던데요, 골디락스시대라고도 하더라구요, 그런데 골디락스시대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역사상 골디락스시대는 언제를 말하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골디락스와 같은 경우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골디락스 경제란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1990년대 후반 미국 경제가 과도한 인플레이션 없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자 미국 언론에서 당시 경기를 골디락스 경제라고 지칭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골디락스 경제라고 하는 것은 경기가 침체되지 않고 또한 경기가 너무 과열되지 않은 적정한 수준의 경제 성장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이러한 골디락스라는 단어는 1992년도 데이비드 슐만 살로먼스미스바니 이코노미스트가 처음으로 경제에서 사용되어졌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골디락스는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에 나오는 소녀의 이름으로서, 골디락스라는 소녀가 숲 속에서 곰이 끓여놓은 3개의 수프 중 가장 적당한 온도의 수프로 배를 채우게 되었다는 것이 골디락스 경제의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상 골디락스 경제라고 지칭할 수 있는 시기라고 한다면 금융위기가 종결된 이후 2013년도에서 2020년도까지의 경제 상황이 골디락스 경제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즉 경제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호황인 상태, 건실한 경제 성장과 낮은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이상적인 경제 상황일 때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골디락스는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의미하며, 경제가 과열하거나 침체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상태를 말해요. 높은 실업율과 인플레이션의 부담을 겪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지칭합니다. 골디락스 시대의 대표적인 시대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의 경우 실업율이 낮아지고 인플레이션 역시 저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기 침체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골디락스 시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