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 탈구 증상과 예방하는 방법 알고 싶습니다.
말티즈를 키우고 있는데, 슬개골 탈구가 말티즈에게 잘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라고 해서 걱정입니다.
슬개골 탈구 초기증상이 있을까요? 그리고 평소 슬개골이 탈구되는 걸 예방하기 위해
하면 도움되는 관리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탈구의 초기 증상은 다리의 떨림, 보행장애, 파행, 다리나 허리 등을 만지면 아파함,
예전과 달리 잘 뛰지 못함, 점프를 하거나 오르막길을 잘 못 올라감
등등이 있습니다.
탈구의 예방적인 관리로는 강아지가 너무 흥분하여 뛰거나, 뒷다리로 서거나, 빙글빙글 도는 행동은 다리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산책이나 놀이를 할 때는 높은 곳을 오르거나, 경사가 심한 곳을 내려가는 경로는 피해주시고
관절 영양제 (글루코사민)을 챙겨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집안의 바닥이 강아지에게 너무 미끄럽지 않은지 확인해주세요.
강아지가 비만이라면 관절질환이나, 슬개골탈구 등이 잘 발생할 수 있으니 강아지의 체중관리, 식단관리도 신경써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예 가장 큰 원인은 과체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관절에 비해서 체중이 너무 많이 나가면 무리가 오게되고 무리가 온 상태에서 심한 활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거나 뛰거나 하면은 슬개골 탈구가 올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가장 문제시되는 과체중을 예방하시고 평상시에 적당한 운동량을 통하여 관절을 강화 시켜 놓고 근력을 강화시켜 놓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은 슬개골 탈구가 예방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슬개골 탈구는 유전성 질환이면서 동시에 구조의 질환이라 예방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고
질환이 존재하면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수술적으로 구조를 교정하는것이 2차적인 퇴행성 질환을 막는 예방이 됩니다.
초기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이고
가끔 깸발을 뛰는 등 다리 저는 현상이 있을 수 있고
퇴행성 관절염까지 진행하는경우 근 위축과 만성 염증성 질환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진단은 훈련된 수의사가 손으로 만져봄으로서 슬개골 탈구 유무에 대한 확진은 가능하니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확인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