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분리 규제는 어떻게 왜 시행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를 소각할수록 최대주주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을 팔 수 밖에 없는 건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 규제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금산분리 규제는 어떻게 왜 시행 되는 건가요?
금산분리라는 것은 금융과 산업을 나누는 것인데 예를 들어 산업이 힘들어지거나 어떤 사업을 할려고 할 때 자회사인 금융회사나 은행을 이용해서 자금을 유용하거나 옳지 않은 방법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회사와 달리 은행 같은 금융기관은 거의 국가 기반 산업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금융기관을 함부로 기업이 움직이면 안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산분리 규제는 간단히 말해 금융과 산업 자본을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규제입니다.
즉, 은행과 같은 금융회사가 특정 기업이나 대기업에 편향된 투자를 하거나, 기업이 은행을 통해 부당한 이익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금융과 산업 자본이 결합되면 소수의 대기업이 경제력을 독점하고 시장 경쟁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금산분리는 이러한 경제력 집중을 막고, 공정 경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금융과 산업 자본이 결합될 경우, 특정 기업의 위기가 금융 시스템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금산분리는 이러한 시스템 리스크를 방지하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금산분리 규제는 금융자본(은행, 보험사 등)과 산업자본(제조업, 서비스업 등)을 분리하여 경제력 집중을 억제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금융기관이 특정 기업에 자금을 편중지원하거나 산업자본이 금융기관을 지배해 시장을 왜곡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이를 위해 금융기관과 산업자본은 서로 일정 비율 이상의 지분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소각하면 삼성생명 등의 지분율이 증가하지만 금산분리 규제에 따라 삼성샐명 등은 일정 비율을 초과할 수 없어 주식을 매도해야 합니다.
이는 금융기관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경제적 불공정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