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의 구조물음 왜 이렇게 복잡하게 만드나요?
차들이 오갈수 있는 바다위나 강 위를 지나는 다리를 보면 구조물이 엄청 복잡합니다
단순하게 지으면 공사비용도 적게 들고 빨리 지을수 있을거 같은데요
다리 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다리 구조물의 경우에는 말씀하신대로 복잡하게 만들어 지는게 맞습니다. 단순하게 만들면 공기도 줄어들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다리의 경우에는 하중을 견뎌야 하는데 이게 단순한 구조로는 견딜 수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번 지어지면 유지보수로 몇십년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 안전설계를 해서 그렇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수많은 다리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다리를 설치할때 구조는 환경적, 물리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물의 유속, 교통량, 강 길이, 하중, 바람, 조류 등 자연과 환경에 맞는 구조를 선택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다리 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이유는 하중을 견디고 안전을 위해서 입니다.
-현수교는 두개의 거대한 탑이 구조를 지탱하고 강철 케이블이 다리 전체를 지탱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케이블은 얇은 강철와이어로 구성되어 엄청난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즉, 주탑 사이에 길게 연결된 주 케이블에 상판을 매달아 지지하는 구조입니다.
예) 이순신대교, 남해대교, 영종대교, 광안대교
-사장교는 두개의 주요 타워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케이블로 다리 상판을 지지하고 있어 주케이블이 두 타워 사이에 매달려 있습니다.
즉, 주탑에서 여러 개의 케이블이 방사형으로 상판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입니다.
예) 인천대교, 올림픽대교, 서해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