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노린재37
산뜻한노린재3723.01.18

단풍이 물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단풍은 봄여름겨울이 아닌 가을에 물이 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다른 계절에는 그 색이나오지않다가 가을만 되면 붉어져서 이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8

    나무는 일조량이 적어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겨울을 감지하여 얼어죽지 않기위해 잎과 줄기로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하는 관을 닫습니다.

    나뭇잎의 수분은 농도가 옅어 겨울의 추운날씨에 얼게 되어 만약 관이 뿌리까지 연결되어 있다면 이관을 타고 얼음이 전도되어 결국 나무는 동사하게 됩니다.

    하여 살기 위해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하는 관을 닫는 것입니다.

    나뭇잎은 수분과 빛 그리고 엽록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합니다.

    겨울에 나뭇잎은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광합성을 멈추고 엽록소 공급도 하지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나뭇잎은 녹색을 띄지 않고 원래 가지고 있던 여러가지 색상을 드러내게 됩니다.

    이것이 단풍이고 수분이 없기 때문에 말라서 결국에는 낙옆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단풍이란 계절변화로인해 식물의 잎이 붉은 빛으로 물드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단풍이 들게되는원리는 잎속의 엽록소가 분해되어 안토사이안이란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에 함유된 녹색 색소인 엽록소는 광합성을 하기 위한중요한 것으로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봄, 여름에는 이와 같은 엽록소가 많아서, 잎의 색이 녹색을 띄게 되지만, 가을이 되면 나뭇잎에서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그 외의 노란색, 빨간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록소가 분해되어 사라지고 나서 다른 색소들이 보이게 되는 것이 바로 가을 단풍이 드는 원리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혜나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 되어 기온이 0℃ 부근으로 떨어지면 나무는 엽록소의 생산을 중지하고 잎 안에 안토시아닌을 형성하는데, 이 안토시아닌 때문에 나뭇잎이 붉은색으로 변하게됩니다

    안토시아닌 색소를 만들지 못하는 나무들은 비교적 안정성이 있는 노란색의 카로틴 및 크산토필 색소를 나타내게 되어 투명한 노랑의 잎으로 변합니다. 또한, 붉은색의 안토시아닌과 노란색의 카로틴이 혼합되면 화려한 주홍색이 되는데 이것은 흔히 단풍나무류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색입니다.


  • 가을이면 단풍이 물드는 이유 단풍이 드는 원리는 식물의 잎에 있던 엽록소가 분해하기 때문입니다. 엽록소는 봄부터 여름, 가을까지 햇볕을 받아 뿌리에서 올라오는 수분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로 영양분인 탄수화물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 나뭇잎이 초록색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엽록소가 초록색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엽록소는 광합성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하지만 가을이나 겨울이 되면 광합성으로 얻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나무는 엽록소를 제거합니다.

    엽록소가 제거되면 초록색도 같이 제거되어 노랗거나 빨간 단풍이 되는데,

    노란색의 경우는 크산토필이라는 성분이 많으면 나타나게 되고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이 많은 경우는 나뭇잎은 빨간색이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