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환한슴새70
환한슴새7023.12.07

눈이 오는데 바닥은 안 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는점을 넘어서서 비가 눈이 되어 내리는거 같은데, 바닥에서는 쌓이지않을때가 있잖아요 ? 지상의 온도가 더 높아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지상 온도: 비가 눈으로 변할 때, 지상의 온도가 0도 미만이어야 눈이 쌓이고 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상의 온도가 얼음이 아닌 물 형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비가 쌓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대기 상태: 비가 눈으로 변하는 동안 대기 상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기 중의 수분 함유량과 공기의 상승/하강에 따라 비가 눈으로 변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수분 함유량이 적거나, 대기 상승이 빠르게 일어나면 비가 눈으로 변하지 않고 물로 남을 수 있습니다.

    3. 고도: 지형의 고도도 비가 눈으로 변하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고지대에서는 대기가 더 차가워지므로 비가 쉽게 눈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눈으로 변하는 현상은 대기 중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온도가 0도 이하인 경우에는 비가 눈으로 변하게 됩니다. 하지만 바닥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바닥의 온도가 대기 중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바닥에서는 눈이 녹아서 물이 되기 때문에 눈이 쌓이지 않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닥의 온도가 높아서 눈이 녹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의 온도가 높아서 눈이 비가 되어 녹는 것입니다. 따라서 눈이 오는데 바닥은 얼지 않는 것은 대기 중의 온도가 높아서 눈이 녹아서 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의 온도가 어는점 이상이거나 염화 칼슘등이 뿌려졌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눈 자체도 진눈깨비 처럼 내리는 눈의 경우 쌓이지 않고 바로 녹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