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시대에 살고있는 현재 글로벌 노동시장에
글로벌시대에 살고있는 현재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근로자들에대한 가치는 어느정도의 수준인
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 산업의 노동생산성 지수는 110.2(2015년=100)로 2021년(107.8) 대비 2.22% 상승했지만, OECD 국가별 시간당 노동생산성을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49.4달러로 37개국 중 33위 수준인데요. OECD 평균인 64.7달러의 4분의 3 수준으로 처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크게 나눌 수가 있습니다 경제 활동 인구 2700여만 명 중 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최저 시급을 받거나 그것도 못 받는 사람을 포함하면 더욱 많습니다 정규직들이 뭐라 할 입장은 아니고 비정규직들을 얘기하는 것이지요 24시간 맞교대 일을 하면서 8시간씩은 강제로 무급을 받습니다 그러면서 대기는 해야 됩니다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우리나라 노동 인구의 가치를 비교하자면 세계 1인당 국민소득을 비교하면 될 것입니다. 작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6위 국가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한국 근로자들은 높은 교육 수준과 강한 근면성으로 인정받으며, 기술 및 IT, 제조업 분야에서 특히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높은 근로시간과 상대적으로 낮은 노동생산성, 경직된 조직 문화 등이 개선 과제로 지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한국 근로자들의 가치는 높은 기술력, 성실성, 그리고 높은 교육 수준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IT, 제조업, 반도체, 바이오 등 기술 중심의 산업에서 한국 근로자들은 국제적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인재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노동시장에서의 가치는 단순히 기술력만이 아니라 근로 조건, 언어 능력, 유연성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됩니다. 한국은 높은 근로 강도와 긴 근로 시간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일부에서는 창의성이나 혁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글로벌 시대에 한국 근로자들이 더욱 높은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네트워킹, 언어 능력 강화, 그리고 창의적 사고를 배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유리한 근로 환경을 조성하고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글로벌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우리나라 근로자들에 대한 가치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인들은 기본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고 워크에식이 좋아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