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는 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열대야는 왜 생기는지 궁금해요?
열대야로 경고 알람도 오는데요?
열대야에 소금은 먹어야하나요 아니면 물을 많이 마셔야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야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동아시아 기후대 특유의 습도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북태평양 기단과 태풍으로 인해 강수량이 집중되는 한여름에는 비가 안 와도 습도가 엄청 높아지는데 물이 비열이 큰 특성상 일교차를 줄여버리기 때문에 아침, 저녁으로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 것. 실제로 한여름에 건조한 지중해나 중앙아시아, 미국 서부 지역의 경우 한낮에 40℃에 육박한다 해도 해가 떨어지면 20℃ 아래로 기온이 내려가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내륙의 고지대에서는 야간 기온은 영하로 떨어지기도 한다. 단, 사막기후라도 아랍에미레이트, 오만, 카타르 등 해안 근처나 호주의 해안지대, 일부 아웃백 내륙처럼 공중습도가 높은 곳은 하루종일 후덥지근하다. 특히 페르시아만 남부와 가까운 오만이 매우 심한데, 2018년 6월 27일 쿠라야트(Qurayyat)라는 지역에서는 아침 최저기온이 42.6도를 기록했고, 그 다음 날인 28일에도 41.9도를 기록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또한 하사브(Khasab) 공항에서도 2015년 5월 27일부터 9월 3일까지 무려 99일 연속 초열대야라는 경이로운 기록이 나타났다. 그 중 최고 최저기온은 6월 24일의 40.4도. 지중해 연안도 마찬가지라 튀르키예의 아다나,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같은 곳에서 열대야와 유사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습도와 더불어서 여름철 하늘에 적운이 많아지면 야간에 복사냉각이 일어나지 않아서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다. 인공적인 원인으로는 도시의 열섬 현상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로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로 도배된 수준인 도심 지역에 열대야가 자주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녹지가 많은 변두리 지역이나 농촌 지역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열대야의 대책으로 도심지 여유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거나 흐르는 물을 두어 이를 완화하려는 시도 역시 진행되고 있다. 한 예로 대구광역시의 경우, 도심에 녹지 공간을 확충하는 데 노력한 결과 실제로 도심의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진 성과를 보였다.(출처 : 나무위키 - 열대야)
열대야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소금을 먹으라고 하는데요. 최근 연구 결과는 소금보다는 수분이 휠씬 많이 빠져나간다고합니다. 그래서 땀을 많이 흘리면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야는 밤사이의 최저 기온이 25도를 넘는 날을 말합니다. 열대야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지구 온난화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고, 밤에도 기온이 낮아지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도시화도 열대야의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도시는 시골보다 밤에 더 따뜻합니다. 이는 도시의 도로와 건물이 열을 가두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야는 해가 떨어진 밤에도 기온이 25도 이상일 경우를 말합니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의해서 이 열대야 현상이 더욱 잦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의 경우 건물들로 인하여 가두어진 열 때문에 더 심합니다.
또한 질문하신 것처럼 땀이 많이 나는 여름에는 전해질이 있는 이온 음료 등을 마시게 되면 수분 흡수가 빨라 탈진 등을 막아주게 됩니다.
열대야는 기후와 기상 현상 중 하나로, 지구상의 지역에서 과도하게 높은 기온과 습도가 지속적으로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열대야는 주로 지구의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지역은 적도를 중심으로 약 23.5도 북위와 남위 사이에 해당합니다. 열대야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사광선: 열대 지역은 지구상에서 태양이 수직으로 비추는 지역입니다. 태양이 수직으로 비추면 더 강력한 직사광선이 지면에 도달하며, 이로 인해 더 많은 열이 지면으로 흡수됩니다.
기류의 영향: 열대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기류인 열대저기압과 반대로 열대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열대고기압은 하강기류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대기를 건조하게 만들어 수증기가 증발하지 않고 대기에 남아있도록 합니다. 이로 인해 습도가 높아지며, 열대야가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해양 영향: 해양은 열이 잘 저장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대 지역은 일년 내내 따뜻한 해양 기후를 경험합니다. 해양으로부터 전달되는 높은 온도와 습도가 열대야를 유발하는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열대 지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높은 기온과 습도가 유지되며, 열대야가 발생합니다. 열대야는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열대 지역의 특징적인 기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야는 밤인데도 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밤잠을 설치게 만들죠.
이런 열대야는 고온다습한 남태평양고기압에 의해 여름철에 생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야는 대기 중에서 온실 효과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발생합니다.
온실 효과란, 태양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단파선은 지구 표면에서 흡수되어 재발사되는 장파선으로 바뀌는데, 이 때 대기 중 일부의 기체들이 장파선을 흡수하면서 대기 중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온실 효과로 인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등의 온실 기체 농도가 증가하면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열대야와 같은 기상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지구의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야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이로 인해 열대야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