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관대한기러기252
관대한기러기252

우선주 보통주 1우b 이런게무슨차이인가요?

제목. 그대로 우선주 보통주 1우b 등등등무슨차이들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주식에서 유상중자라는 말도궁금하고 그외에 있는 주식 용어들이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온화한물수리120
      온화한물수리120

      우선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점은 의결권의 유무라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선주의 이름 끝에 B가 붙는 것들은 최저 배당률이 정해져 있는 우선주들입니다.

      (1996년 개정상법 이후로 생긴 주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증자는 주식을 더 찍어내는 것.

      유상증자는 그 주식이 유료라는 뜻, 무상증자는 그 주식이 무료라는 뜻으로 간단하게 이해하시면 편해요.

      주식 용어라 하면 공시에 주로 등장하는 용어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궁금할 때마다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보심이 어떨까요.

      이름이 어려워 그렇지 속뜻은 별 것 없으니까요~

    • 일반 우선주는 "우1"로 첫번째로 발행된 우선주라는 의미입니다. 우2는 두번째로 발행된 우선주라는 의미로서, 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이상의 기업이 우선주를 발행 유통시키게 됩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배당금을 1%정도 더 주며, 상환전환우선주 등의 특수한 우선주 역시 발행이 가능합니다. (* 주로 자금을 조달하면서, 경영권에 특별한 위협을 없애고 싶을 때 기업들이 주로 우선주를 발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 질문 답변가 부자아빠입니다.

      우선주 관련 지식을 정리해놓은게 있어서 공유해드립니다.

      =======================================================================================

      보통주 :

      우선주를 설명하기 전에 일단 저희가 기본적으로 보는 주식을 보통주라고 합니다. 의결권이 있어 주주총회 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우선주 :

      보통주와 달리 우선주는 보통주에 대하여 이익배당/잔여재산 분배에서 예외적으로 우대조치를 받는 주식을 말합니다.

      그래서 보통주보다 배당도 조금이지만 더 많이 먼저 받게 되는 이익이 있습니다.

      우선주의 특징은 보통주의 발행중 25%를 초과할 수 없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우선주는 구형 우선주와 신형우선주로 나뒵니다.

      1. 구형 우선주 :

      그냥 <우>만 붙은 것은 구형입니다. EX) 현대차우, 삼성전자우, SK이노베이션우 등등

      2. 신형 우선주 :

      <우B> <2우B>처럼 숫자와 B가 같이 붙게 된 우선주를 신형우선주라고 부릅니다.

      신형우선주는 옵션이 붙기 때문에 구형보다 좀 더 매력적인 요소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만 조금 더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회사가 더 옵션을 주고 채권을 발행하지 않았을 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B가 붙은 이유는 Bond(채권 : 일정기간동안 약정금리를 받는형태의 권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해서 붙게된 이름입니다.

      EX) 현대차 3우B, 한화3우B , 두산 2우B 등등 앞에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몇차째인지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 3우 B라면 3회차 발행하는 우선주라는 뜻입니다.

      =======================================================================================

      우선주 중에서또 또 특이한 형태의 우선주가 있습니다.

      전환우선주와 상환우선주라는 것입니다.

      3. 전환우선주 :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보통주로 바뀌는 우선주

      상환우선주 :

      특정기간동안 우선주의 성격으 지니고 있다가 기간이 만료되면 발행한 회사에서 이를 다시

      매입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간단한 정리>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유통수가 적어 변동성이 보통주에 비해 심할 수 있고(삼성중공업우사태), 보통주에 비해 배당을

      좀더 받는 대신 보통주가 가진 의결권이 없습니다.

      유상증자는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돈주고 주식산다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다만 주식을 더 발행하는 회사가 왜 주식을 더 발행하는 지 그 이유가 가장 중요하겠죠?

      생각해보세요 연 100억 버는 회사라고 생각해봤을 때 질문자님 연봉이 5억입니다. 그런데 이 회사를 다른 사람이 10억 투자해준다고해서 지분을 10%떼주고 회사의 모든 수입의 10분의 1은 자기거라고 얘기할 때 질문자님이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마 선뜻 응하기 어려울 거에요.

      좀 직관적으로 설명해드릴려고 노력했는데 잘 와닿았으면 좋겟네요.

    •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의결권 행사 가능 여부의 차이입니다.

      보통주는 주주총회에 참여하여 내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나 우선주는 불가하며, 대신 배당시에 우선적으로 배당된다 하여 우선주라 합니다.

      우a 우b 우c는 발행시점에 따라 부여됩니다.

      96년 이전에 발행된것은 우a 96~2012 발행된것은 우b 이후 우c

      2012년 이전에 발행된것이 없을경우엔 발행시 그냥 우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96년이전것은 별 특이사항없고 우b의 경우 최저 배당률이 존재합니다 최저 배당률이 2%라 하면 사업이 잘되든 안되든 무조건 2%를 보장해줍니다 추가적으로 더 지급될수도 있고요.

      다만 최저배당률이 지급되는대신 우선주의 발행 만기가 존재합니다 일종의 채권형태라 보시면될껍니다

      현재도 동일하게 발행되는 우c의 경우엔 별특이사항 없습니다

      배당의 우선권 정도로 보시면됩니다

      앞의 숫자 1은 우a 우b 우c 각각의 기간에서 우선주 발행이 여러번 있었을경우 그 순서를 의미합니다

    • 일단 개념부터 설명해드리면

      우선주 : 이익배당, 잔여재산의 분배에서 예외적인 우대조치를 받는 주식 (단, 의결권이 없음)

      보통주 : 일반적으로 우리가 거래하는 주식

      그래서 만약에 주식을 사신다면

      경영진과 함께, 다가올 세계경제질서를 다투며 경영에 참여하고 싶다면 당연히 보통주를 사야하는게 낫고

      경영에 관심없고 한푼의 배당금이 더 달콤한 아기고라니들은 우선주가 이득이라고 보면됩니다.

      1우b 이런 개념은 1996년에 상법이 개정되면서

      신형우선주가 발행되기 시작하면ㅅㅓ 생겨났습니다

      이 신형우선주는 기존의 우선주와는 다르게 만기가 존재하는ㄷㅔ 보통 약 3~5년의 만기로 발행된다고 합니다.

      이 신형우선주들은 발행시 'OOO우B'와 같이 우 뒤에 알파벳 B를 붙인뒤 구형우선주들과 구분을 짓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