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금쪽같은홍여새204
금쪽같은홍여새20422.08.15

멀미는 어떤현상때문에 생기는건가요?

사람이 차를타거나 배를타면 보통 멀미를하는데 멀미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혹시 멀미를 자주하는사람인데 안하도록 바뀔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귀에서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부분인 '전정기관' 때문에 발생합니다. 차가 흔들려 안에 타고 있는 몸이 함께 움직일 때, 전정기관과 몸의 자율신경계가 일치해서 작동하지 않으면 어지럼증 등 멀미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멀미를 줄이는 방법은 전정기관과 몸의 자율신경계가 일치하도록 하는 겁니다.

    방법은 차가 기울어지면, 전정기관이 기울어지는 쪽으로 반응할테니, 우리도 눈으로 보고 대비를하고,

    실제 차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고개를 기울여주는 겁니다.

    버스 같은 곳에서도 뒤가 아닌 앞에 타서 버스의 진행방향을 볼 수 있다면, 이런 원리로 멀미를 줄일 수 있습니다.

    버스 뒤에 앉으면 내 대뇌는 버스 진행 상황을 모르는데, 전정기관만 반응을 하니 여기에서 불일치가 생기고,

    이로 인해 멀미가 심해지는 것입니다.

    그외 멀미약을 이용하면 더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15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외부의 여러자극 ( 흔들림, 냄새,시각자극 등)으로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구토,어지러움,머스꺼움,두통 등) 몸의 이상 반응 현상 입니다.

    멀미를 방지하기위해서는 차량의 겨우 환기, 서늘하게 내부온도 유지, 과도한 음식물 섭취 금지, 간단히 먹을수있는 껌,오징어,쥐포 등 씹는운동을 할수 있는 음식 섭취, 특히 경험상 생강편을 먹으면 멀미예방에 아주 효과적 이었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귀 안쪽에 전정기관에 혼란이 발생했을때 생깁니다.
    전정기관은 우리몸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관인데요,
    해당 기관안에 돌이 굴러다니면서 섬모를 걸드려 감지합니다.

    흔들리는 차량이나, 항공기, 선박등에 의해 이 돌맹이들의 움직임 패턴에
    변화가 심해지면서 너무 강하고 새로운자극이 섬모에 들어와
    뇌에 혼란을 줍니다.

    이를 멀미라고 합니다.

    이 느낌에 둔감한 사람일 수 록 멀미를 덜 합니다.

    감사합니다.


  • 멀미는 몸에서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귀 안의 전정기관이 자극을 받게 되면 생기는 현상입니다.

    실제 일상적인 움직임과 감각기관이 느끼는 움직임이 불일치하면

    뇌가 괴리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이 멀미 증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