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헌신하는족제비288
헌신하는족제비288

인공 지능이 의학 진단과 치료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특히, 의료 영상 분석과 질병 예측에 대한 최신 연구를 다루어주세요.

인공 지능이 의학 진단과 치료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설명해주세요. 특히, 의료 영상 분석과 질병 예측에 대한 최신 연구를 다루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영상진단분야에서 인공지능은 최근 암 진단이미지와 실제 임상적 암 진단 사례매칭 결과 등을 파악하여 이미지만으로 진단을 가능케하도록 학습하고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으로 오진단하여 불필요한 항암치료를 개시하거나 암이 아니라고 오진단하여 치료를 못받게하는등 치명적인 에러를 줄이고자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암 진단 외에도 패혈증과같은 혈액내 박테리아감염증의 조기진단등에도 영상처리가 필요한데 여기에도 노이즈제거등에 인공지능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 인공지능(AI)은 최근 몇 년 동안 의학 진단과 치료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의료 영상 분석과 질병 예측에서 AI의 활용이 두드러지며, 이는 의료 전문가들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의료 영상 분석에서 AI는 방대한 양의 의료 영상을 분석하고 사람의 눈으로 놓치기 쉬운 패턴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딥마인드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유방암 검진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모델은 기존 방사선 전문의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며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AI는 안과에서 망막 이미지를 분석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같은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글 헬스의 연구에 따르면, AI 모델이 전문 안과 의사와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로 질환을 진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질병 예측에서도 AI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자 건강 기록(EHR), 유전체 데이터, 생활 습관 정보 등을 분석하여 특정 질병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돕습니다. IBM의 왓슨 헬스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환자의 건강 기록을 분석하고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을 예측합니다. 이는 환자가 질병에 걸리기 전에 예방적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23andMe와 같은 회사는 AI를 사용하여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고 특정 질병에 대한 개인의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영상의학 경우, 사람이 놓칠 수도 있는 미세한 부분까지 진단에 고려하여 판단을 하고 그 판독 속도도 사람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감사합니다.

  • 인공 지능은 환자의 의료 기록과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을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환자의 혈압, 심박수, 혈당 수치 등을 분석하여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질병 발병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기 진단과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표준화된 big data를 토대로 유사성 있는 결과에 대한 감별 진단명을 내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실제 엑스레이에서도 pneumothorax, pleural effusion, edema, cardiomegaly등의 소견에 대해 ai적으로 평가하는 프로그램은 있습니다.

  • 인공지능은 의료 영상 분석과 질병 예측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의료 영상 분석 기술은 CT, MRI, X-ray 등의 의료 영상에서 질병의 징후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의사의 진단 정확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은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질병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자건강기록(EHR)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질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예방 의학과 정밀 의료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의료 분야에서 AI는 방대한 양의 환자 및 원시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더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핵심 툴이 될 수 있습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중선 교수와 세종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하진용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차정준 교수 연구팀은 '심혈관질환 진단 AI 기술'을 개발했는데요, 빠른 진단으로 스텐트 삽입술 정확도 높이고 부작용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심혈관 OCT 영상진단기기에 탑재 가능해 임상 현장에서 활용 기대되고 있는 모든 관상동맥 질환에 적용 가능한 머신러닝 기반의 심혈관질환 진단기술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