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소비에트 당과 관련하여 질문드려요

레닌이 이끈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당 중 하나였다고 알고 있는데 소비에트 당이 여러개가 있었나요? 소비에트가 의회를 대신하는 권력 기구라고 알고 있는 어떻게 여러개가 있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zudaish
      zudaish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동유럽과 소련에서의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및 체제 전환은 대부분 당(공산당)이 붕괴하면서 체제가 몰락했던 ‘대전환’의 과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련 체제하에서 당의 일반적인 역할을 살펴보고 소련공산당 붕괴에 이르기까지 당원의 충성심과 통제력 이완이 맞물려가면서 나타났던 현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소련은 당과 국가가 이중의 관료체제로 이원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제 유지를 위해 나름의 장점이 있었기 때문에 체제를 유지했다. 1985년 고르바초프의 서기장 취임 이후 국가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제창한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의 요구는 당개혁의 과제를 필연적으로 제기했지만, 결과적으로 당은 개혁의 주도자가 못하고 실패했다. 그 이유는 첫째, 비판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 당내 언로의 부재, 둘째 당내 민주화 실천 의지 부재, 셋째, 당의 비전 제시 능력 부재 등으로 인해서였으며, 결국 고르바초프 지도력의 한계와 결합하여 당의 붕괴를 초래했다. 소련에서 당의 실패는 시민사회의 당으로 부터의 이탈에 이어 당원의 충성심 약화와 당의 분열을 초래했고, 결정적으로 1991년 8월 미수에 그친 쿠데타 실패라는 외부적 충격으로 인해 와해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당은 소비에트 국가의 핵심 기간조직이자 거대한 동원 기관이었지만, 그 자체는 수동적으로만 움직이는 조직체였기 때문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와해될 수밖에 없었고, 핵심 및 기간요원을 제외하고는 당원의 충성심 역시 가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