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는 냄비에 집게를 얹으면 왜 안넘치죠?
티비에서 봤는데 냄비에 국이 끓어 넘치려고하니까 집게를 올리니 물이 안넘치더라구요. 어떤원리로 그렇게 되는거죠? 신기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냄비에 국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 집게를 올리면 물이 안 넘치는 원리는 표면 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물은 분자 간의 힘으로 인해 표면에 장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 표면 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물이 끓게 되면 수증기가 생성되고 끓는 국의 표면에 거품이 형성됩니다. 이때 집게를 냄비의 가장자리에 올리면 집게가 물의 표면에 닿게 됩니다. 집게의 존재로 인해 표면 장력이 깨지게 되어 거품이 표면으로 확산되지 않고 냄비 안에 가두어지게 됩니다. 이로써 물이 넘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끓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집게를 올리는 것은 표면 장력을 깨는 원리를 활용한 것으로, 냄비의 가장자리에 닿아있는 집게를 통해 물의 표면 장력이 깨어지면서 넘침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냄비에 국이 끓어 넘치려고 할 때 집게를 올리면 물이 안넘치는 현상은 표면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으로, 액체 분자들이 서로에게서 받는 인력입니다.
집게를 올리는 것은 냄비의 가장자리에 추가적인 장애물을 만들어내어, 국의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합니다. 냄비 가장자리에 집게나 다른 장애물이 위치하면 국의 표면장력이 그 장애물을 따라 적용되어 냄비 밖으로 물이 넘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