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시뻘건타조91
시뻘건타조91

음력의 24절기는 어떻게 지역마다,

음력을 사용하는 지역들은 24절기 날짜가 다 같은가요

농촌에서 보면 음력을 보고 농살 짖는다고 하는데 넓은 지역에 따라 다같이 적용도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이름이므로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입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의 절기를 사용합니다.

      [자료출처 - 두산백과]

      날짜를 보시면 각 절기마다의 Range가 15일입니다. 음력을 사용했다고는 하나 24절기의 이름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때문에 현재도 중국의 화북지방과 위도가 같은 경우에는 경도의 차이에 의해 하루 정도의 시간 차이는 있지만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기준이 되는 지역과 남북으로의 위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적절히 감안하여 참고하여 농사에 적용하였습니다.

      지구는 극점과 적도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선을 그어 위도와 경도로서 위치를 파악합니다.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져있는가를 측정하는 척도인데 계절과 관계가 있습니다.

      경도는 극점을 이어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지구의 자전이 1시간에 15도 이동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24개의 시간대를 설정하여 시간과 관계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음력은 계절에 따라 24절기를 운용하고 그것은 농사 및 어업활동에 기준으로 삼아왔습니다. 대한민국처럼 국토의 면적이 동서남북으로 크지 않은 경우에는 각 지역이 걸쳐있는 위도와 경도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차는 없다고 볼 수 있고, 위도에 따른 계절의 차이는 국토가 남북으로 약간의 길이가 있어 몇 일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계절이 달라질만큼의 차이는 없습니다.

      벚꽃이 개화하는 시기만 보아도 남쪽지방은 빨리 개화하고, 북쪽으로 갈 수록 늦게 개화합니다. 단풍은 북쪽이 먼저 추워지니 먼저 들고, 남쪽이 나중에 단풍이 듭니다. 이것은 1~2주일 차이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전 지역 같은 날짜로 24절기를 확인하고, 지역에 따라 경험적으로 파종시기 수확시기 등을 조절하여 운용해오고 있는 것입니다.

      해당 절기는 남반구 쪽으로 가면 달라집니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겨울일 때 호주의 경우는 여름이지요. 완전히 계절이 바뀌는 것입니다. 그것은 위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절기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음력 달력은 옛날에는 중국도 사용했었는데 현재는 우리나라만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어디든 24절기는 같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