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에서는 '생명'을 어떻게 보나요??
안녕하세요!!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입니다!
생물학에서는 '생명' 이라는 것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합니다..
어느 시점부터 생명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싹이 나기 전의 씨앗도 생명인가요?
자유의지가 없는 세포도 생명인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당히 어려운 질문이긴 하지만, 생물학에서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면 생명으로 봅니다.
생명의 시작은 세포로 구성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질대사를 하며, 성장과 발생과정을 거치고, 자극에 대해 반응하며, 항상성을 유지하고 생식과 유전을 통해 자손을 만들고 적응과 진화를 하는 것이 생명입니다.
하지만, 생명의 시작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생명의 정도의 의견이 다른 주장이 많지만, 생명의 시작은 더욱 더 다양한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세포 구조를 갖추고 물질대사를 시작하는 시점을 생명의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다세포 생물의 경우, 개체로서 기능을 시작하는 시점을 생명의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자에 따라 다르게 볼 수도 있지만, 생물학적으로 본다면 싹이 나기 전의 씨앗은 생명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이지만, 살아있는 상태로 볼 수 있고, 자유의지가 없는 세포도 물질대사, 성장, 자극에 대한 반응 등 생명의 기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생명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생물학에서는 생명을 세포 구조, 대사 작용, 성장, 번식, 반응성, 항상성 유지 등의 특징을 가진 존재로 정의합니다. 생명의 시작에 대한 기준은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스스로 대사하고 환경에 반응하며 번식할 능력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씨앗은 싹이 나지 않아도 잠재적 생명으로 간주되며, 적절한 조건이 주어지면 발아할 수 있으므로 생명체로 봅니다. 또한, 개별 세포도 대사 활동을 하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므로 생명으로 인정되지만, 자유의지는 생명의 필수 조건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생명은 외부 환경에 반응하며 생명체 내부의 항상성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생식활동을 통해서 자손을 통해 유전자를 남겨야 합니다.
이런 특성들을 가지고 있어야 생명이라고 정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