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PSM_1011
PSM_1011

국민연금 자금 고갈 가능성이 있나요?

국민연금이 자금 부족으로 시간이 지나면 고갈될 수도 있다는 뉴스기사를 보았는데 국민연금 자금 고갈 가능성과 자금 유지를 위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고갈되면 이후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난 2010년에도 이미 2050년쯤 고갈에 대한 언론기사가 났었고 그당시 이미 지급시기를 5년이나 늦추었습니다

    60->65세로요 이는 공단의 설명도 있었습니다. 고갈이 되면 그뿐입니다. 노인빈곤률 세계1위라는 말에서 변할것이 없지요 정치권에서 계속 논의중입니다

  • ✅️ 연금개혁이 없이 이대로 흘러간다면 고갈의 가능성이 크며, 그렇기 때문에 금번에 소위 '더 내고, 더 받는' 등의 개혁내용이 나오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고갈된다면.. 국민 노후 복지의 매우 큰 축이 하나 사라지는 거라서 반발 여론을 무마할 수가 없어질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국민연금 개혁없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면대략 2050~2060년 사이에 고갈(적자) 예정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민연금이 없다진다고는 볼 수 없지만 수급 금액이 점진적 낮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거 같습니다.그래서 이제라도 국민연금 존속을 위한 연금개혁이 필요합니다.

  • 국민 연금이 고갈되는 것은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더 적은 사람들이 연금을 내고 더 많은 사람들이 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발생합니다. 현재 이런 추세이기에 어두운 뉴스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연금 납부율을 조정하거나 수급연령을 늦추는 등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자금이 고갈되면 연금 수령액을 줄이거나 연금 제도를 수정하지 않으면 어려운 상황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대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더 많이 납입하고 더 높은 소득대체율을 보장받는 것 이외에도 연령을 늦추는 것 등에 대해 논의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고갈되더라도 국민연금이 국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제도이기 때문에 국가가 존속하는 한 기금이 소진돼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저출산이 가장 큰 문제로 자리잡고 있으며 수명이 연장되면서 국민연금을 내는 인구는 감소하지만 반대로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인구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고갈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으로 현재의 기조가 유지된다면 국민연금은 2055년도에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요

  • 국민연금과 같은 경우 고갈된다면 우리나라가 망한 수준이라고 보기에 그럴 가능성은 적어보이며 이에 납부금액을 늘리며 보다 높은 투자 수익율을 보이기 위하여 자산배분을 다시하는 등 함으로써 고갈을 막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하신 국민연금 자금 고갈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지금의 인구구조로 가면서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실제로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자금이 고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실제 대책을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그 시간을 늦출뿐이지 근본적인 원인인

    인구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미봉책이 될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 지금대로 간다면 국민연금의 고갈 확률은 100%입니다

    • 그 이유는 돈을 낼 사람은 줄어들고 받아야할 사람은 늘어나기 때문에 이 기금이 유지될 수 없습니다.

    •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 국민연금 개혁안을 가져왔지만 고갈시기를 10년도 늘리지 못하였습니다

    • 이는 국민연금 시스템을 개혁해서는 답이 없고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개혁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