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개천절의 개념과 내용을 알려주세요?
대한민국의 개천절의 개념과 내용을 알려주세요? 정확하게 개천절이 어떻게 유래 됬는지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계속 어떤식으로 전달됬는지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개천절'은 하늘이 열린 날이라는 뜻으로,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 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입니다.
개천절의 본래 뜻을 살펴보자면 하늘의 신인 환인 의 아들 환웅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 (백두산)의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를 열어 홍익인간∙이화세계의 뜻을 펼치기 시작한 날 을 의미한다고도 해요
이처럼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경일이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날입니다.
특히 우리 민족은 10월을 상달이라 부르며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사상을 차 려 감사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제천행사를 행하 는 10월을 가장 귀하게 생각했는데요. 여기에 3'이라는 숫자를 길수로 여겼기 때문에 개천절은 더욱 뜻깊은 날로 이어져 왔습니다.
또한 개천절은 서기전 2333년,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는데요.
독립운동가 나철을 중심으로 한 '대종교'에 서 1909년부터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이라 부르기 시작하며 하늘에 제를 올리고 매년 행사를 열었습니다.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음력 10월 3일을 우리나라 국경일로 선포하게 됩니다. 이후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양력을 기준 으로 개천절을 기념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