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에서 애플에 2조7천억원 과징금을 부과했다는데 이정도 규모는 미국 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나요?
오늘 저녁 경제기사에서
속보로 EU에서 애플에 반독점법 위반을 사유로
2조7천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미국의 애플은 글로벌기업이기도 하고
미국 최고의 기업 중 하나인데
2조7천억원의 과징금 부과가 미국 경제시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나요?
보통 세금의 경우에는 조세전가 현상이 발생하는데
과징금의 경우에도 소비자에게 그 금액이 전가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전가된다면 미국 시장의 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애플의 상황이 호황이였다면 소비자에게 상품금액을 올려 전가가 가능했겠지만 현재
애플의 상황은 중국에서 오히려 가격을 할인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해당 과징금이 이번 애플 상황에 더 크게 다가온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경재업체들과 비교하여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성비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을 인상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애플의 경우 2조 7천억원의 과징금을 맞았다고는 하지만 매출액이나 이익을 고려시 이를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 보니 미국 경제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보시면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빅테크 반독점법이 시행된 뒤 애플이 첫 사례가 된 것이며, 18억 유로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는 애플 전세계 매출의 0.5%에 해당하는 수준에 해당하며, 이러한 반독점법은 애플과 같은 빅테크 기업의 시장 개척에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뿐만 아니라 조직적인 위반 행위가 확인되면 사업부 일부 매각 명령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애플 입장에서는 좋은 소식이라고 할 수 없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위와 같은 금액은 애플이라는 기업에
엄청난 타격이고 이에 따라서 애플의 주가가 빠짐에 따라서
미국 기술주에 영향을 줄 여지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독점 위반을 이유로 EU가 대규모 과징금 폭탄을 부과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빅테크의 입지가 위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EU 과징금 부과에 우려를 반영하듯 이날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3% 안팎의 내림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