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인하되었느데.. 왜 왜 왜 주택담보대출은 아직도 높은가요?
다른나라들은 다들 .. 금리 인하하고 있다는데... 우리나라는 왜 주택담보 대출에 대해서 .. 금리 인하 소식이 없는건가요.. 이유가 뭐죠?
기준금리가 인하되었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여전히 높은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은행은 대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 금리를 높게 책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리스크 프리미엄을 더 크게 적용하고 있어 금리가 바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둘째,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완전히 낮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셋째, 은행은 높은 이자 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신속히 낮추지 않을 수 있습니다.
넷째,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해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낮추는 데 제한을 받거나 신중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빠르게 인하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였다고 하더라도
현재 정부에서 대출 등을 규제하는 등
이에 따라서 주담대 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여전히 높은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존에 주담대 금리가 좀 줄었는데 이게 요전에 있었던 기준금리인하의 선반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시장이 선반영한거에 비해 생각보다 금리인하가 적어서 다시 좀 오르거나 더 이상 안내리고 유지되는 거 같이 보입니다. 또 정부에서 집값 오를라 압박 좀 하는거 같고요. 대출규제도 스트레스 DSR도 예정대로 적용하면서 더하고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장의 금리도 인하되는 일반적이지만 최근의 금리는 좀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리정책과 다르게 시장의 금리가 움직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주 요인의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의 증가에 있습니다. 금리를 인하할 경우 가계 부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시장의 금리가 내려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에서는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더욱이 한국은행에서 은행들의 가계대출 증가에 대하여 감독이 들어갔고 이로 인해 은행들도 금리를 내리지 않고 대출을 축소하게 됐습니다. 결국 은행의 대출축소는 은행의 대출이자를 낮추지 못하게 하는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조이라는 주문을 했기 때문에 금융권에서 눈치를 보며 오히려
주담대 대출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은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한쪽의 대출을 막으면 자연스럽게 실수요자들은 2금융권이나
사금융을 알아볼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여전히 높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은행의 조달 비용이 여전히 높은 상태입니다. 은행들이 돈을 빌려오는 금리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대출 금리도 즉시 낮추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금융 당국의 규제와 위험 관리 때문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장기 대출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장기적인 리스크를 감안해 금리를 신중하게 조정합니다. 그리고 가계부채 관리와 같은 정부 정책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