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은 무한히 빛날 수 있나요?
별이 빛을 내는 걸 빛에너지라고 생각한다면, 어느 순간 이 에너지는 0에 수렴하여 빛이 나는 게 멈출 것 같은데, 별의 빛남이 유한한 건지, 무한히 빛나는 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빛을 내는 것은 빛에너지의 결과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빛에너지는 0에 수렴하지 않고 무한히 빛나는 것은 아닙니다. 별의 빛남은 유한한 것이 맞습니다.
별은 무한히 빛날 수 없습니다. 별은 수소와 헬륨 등의 원소를 핵융합하는 과정에서 빛을 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빛에너지가 생성되는데 이는 별의 중력과 열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일어납니다. 그러나 별의 연료인 수소가 모두 소진되면 더 이상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빛에너지도 생성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별은 무한히 빛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만 빛을 내게 됩니다.
그리고 별의 크기와 질량에 따라 빛남의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큰 별일수록 더 많은 연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오랫동안 빛을 내게 됩니다. 그러나 어떤 별이더라도 무한히 빛나는 것은 아니며 결국에는 빛남의 기간이 끝나게 됩니다.
따라서 별은 무한히 빛날 수 없고 일정 기간 동안만 빛을 내게 됩니다. 이는 별의 크기와 질량 연료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는 별이 무한히 빛나는 것은 아닙니다. 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그 에너지가 별의 표면으로 방출되어 빛을 발합니다. 그러나 별은 유한한 양의 연료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연료가 소진되면 별은 그 빛을 발하지 못하게 됩니다.
별의 수명은 별의 질량에 따라 다르며, 질량이 큰 별일수록 더 많은 연료를 가지고 있으므로 더 오랜 기간 동안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은 약 50억 년 동안 수소 연료를 소비하며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시점에서 별은 연료가 소진되어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이때 별은 다른 과정을 통해 진화하게 되며, 예를 들어 대질량 별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며 매우 밝은 빛을 발합니다. 그 이후로는 더 이상 빛을 발하지 않게 되는 흰색 왜성, 소질량 별은 소성 후에 점점 냉각되어 어두워지는 갈색 왜성 등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유한히 빛나게 됩니다. 별을 항성, 항상 빛나는 별이라고 하는데 크기에 따라 수명이 달라집니다. 무거울 수록, 질량이 클수록 수명이 짧습니다. 무거울 수록 중심의 핵이 커서 폭발에 의한 연소가 빠르기 때문에 빨리 없어집니다. 대략 태양의 질량의 5~10배인 별은 수명이 0.3~1억년 정도이고 태양 질량의 10~50% 정도이면 500억~5000억년 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