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용어 중에 완적 희석된 시가총액
말 그대로 가상자산 용어 중어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이라는 말이 있는데 주식으로 예를 들면 자사주 소각과 같은 개년ㅁ인가요 ? 쉽게,설명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이란 말은, 해당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모든 발행 가능한 토큰을 현재 시장가격에 매각할 경우 시장에서 총 얻어질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시가총액 중에서 현재 순수하게 유통 중인 토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주식에서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발행한 자사 주식을 회수하거나 소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주식 거래 시장에서의 주식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해 시장에서의 주식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주식의 경우에는 기업이 자사주를 소각하면 발행된 주식 수가 감소하면서 시가총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과 자사주 소각은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시장에서 유통 중인 토큰의 가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발행한 자사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자사주 소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이라는 것은 해당 코인이 '유통계획'에 표시되어 있는 앞으로 발행되어질 모든 코인의 개수에 현재의 가격을 곱하여 산정하는 것으로서, 쉽게 이야기드리면 앞으로 코인이 전체 다 발행된다면 해당 코인의 시가총액이 어느정도인지를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 100개만 발행되어졌으나 향후 유통백서에 의하면 300개가 추가발행 예정이라면 해당 코인의 완전희석된 시가총액은 400개를 기준으로 시가총액을 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 등은 채굴이 되며
아직 모든 코인이 유통되지 않았을 때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코인 등이 유통되었을 때의 공급량을
기준으로 시가총액을 계산한 것이 희석된 시가총액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Fully Diluted Market Cap)은 기업이 발행한 모든 주식과 모든 최소화된 주식 옵션, 전환 가능 채권, 워런트(Warrant) 등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한 시가총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모든 주식을 발행하고 최소화된 주식 옵션, 전환 가능 채권, 와라란트 등이 모두 행사되었을 때, 총 발행 주식수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가총액입니다.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주식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실제 가치를 가늠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기존 시가총액과 달리, 해당 가상자산의 발행 가능한 모든 토큰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가상자산 A의 시가총액이 1억 달러이지만, 추가적으로 발행 가능한 토큰이 1억 개 있다면,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2억 달러가 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해당 가상자산의 실제 가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기존의 시가총액보다 상당히 낮은 값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기존의 시가총액에서 보유 중인 가상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매도하거나, 새로운 발행을 통해 추가적인 가상자산을 유통시켜 시장에서 총 유통 중인 가상자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발생합니다.
가상자산에서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은 시장에서 총 유통 중인 가상자산의 수를 증가시켜 시장에서의 각 가상자산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상자산 투자자는 완전 희석된 시가총액을 고려하여 가상자산의 가치와 투자 가능성을 평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