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과 원천징수의 차이????
제목 그대로 4대보험과 원천징수(알바세금 3.3%)차이는 뭔가요?
원천징수는 기본적인 소득세만 떼는거고
4대보험은 소득세 및 연금보험, 산재보험등 떼는걸로만 알고있는데 맞나요?
물론 고용보험(4대보험)이 의무이지만
계약직(1년)으로 입사했는데 원천징수로만 세금을 떼도 상관없는건가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더 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양승용 세무사입니다.
3.3%는 사업소득으로 고용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로 사회보험료를 소득자가 전부 부담하게 됩니다. 또한, 이경우 소득을 지급받는 자는 익년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직장 사대보험을 가입하는 것은 고용관계가 성립하면서 회사에 종속되어 근로를 제공하며 이 경우에도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가 이루어지며 사회보험료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또한, 2월 연말정산을 통해 기납부한 세금과 산출된 세금의 차액에 대해 환급 및 추가납부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1년 계약직의 경우 원칙적으로 직장 사대보험에 가입하여야 하며 고용보험 피보험기간이 1년 6개월이면서 6개월이상 근로하는 경우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하므로 웬만하면 사대보험 가입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현 세무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원천징수로만 세금을 떼는 건 프리랜서(3.3%)말고는 안됩니다.
즉, 근로소득인데 4대보험을 안뗴고 세금만 뗄수는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원천징수는 보험료와 세금 등을 뜯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원천징수에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뿐만 아니라 보험료도 포함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질문자님께서 3.3% 사업소득으로 원천징수가 된다면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보험료는 원천징수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