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 번개는 왜 생기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어렸을 때 하늘이 어둑어둑하면 급한 걸음을 옮길때 뒤에서 번적 하는 빛이 보이고 몇초 후 아주 큰 천둥 소리가 들려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천둥번개는 어떻게 생기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
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
천둥 변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높은 전압을 형성해 공기를 방전시키며 천둥이 치게 됩니다. 하지만 겨울에 눈이 올 때에는 보통 두꺼운 구름은 형성되지 않고 중간 정도의 두께나 얇은 두께의 구름을 형성하고 수증가와 물보다 눈, 얼음 알갱이가 많아 음전하로 대전 되는 정도가 비가 올 때에 비해 적습니다. 그래서 천둥이 잘 치지 않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과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 방전입니다. 번개가 발생하면 공기가 갑자기 가열되고 팽창하면서 큰 소리를 냅니다 이 소리가 바로 천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