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건강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건강상담
우람한개미핥기238
우람한개미핥기23821.08.18

건강검진 결과 비뇨계 요잠혈이라 진단받았습니다. 이경우 대부분 사유가 어떻게 되나요?

회사 지인에게 듣기론 방광암일때도 요잠혈 양성이 뜬다고 들었습니다. CT 말고 추가적으로 검사를 멀 받아야할까요?

방광 내시경은.. 설마 요도를 통해 하는건가요..

무섭네요 ㅠㅠ

이상고지혈증 및 간장질환으로 요잠혈이 부가적으로 뜰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뇨가 나오면 그것이 신장에서 소변이 만들어질때부터 나오는 것(신성 혈뇨)인지, 만들어질때는 이상이 없었는데 소변이 요관, 방광, 요도를 거치는 동안에 혈액이 섞였는지(비신성 혈뇨)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성 혈뇨의 원인은 신장염이 가장 많고, 비신성인 경우는 종양, 결석, 결핵, 요로감염 등이 원인이 됩니다. 드물게 미세한 혈관 기형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정밀검사에는 초음파검사. CT, 혈관조영술, 방광내시경등이있으며 간질환고지혈과는 무관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말하자면 혈뇨가 있다는 것으로 혈뇨를 유발 할 수 있는 요인은 다양 합니다.

    신장쪽에서 나온 것인지 방광이나 요도쪽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혈구의 형태를 확인 해야 하며

    또한 방광염 가능성을 확인 하기 위해 소변 검사 부터 실시 해야 합니다.

    가장 흔한 것은 방광염이겠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변에서 잠혈반응이 있다는 것은 혈뇨가 있다는 뜻인데 방광암이나 신장암일 때도 해당 소견이 있을 수 있지만 이외에 방광염, 기타 신장질환 등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합니다. 여성분의 경우에는 생리와 연관되어, 남성분의 경우 전립선쪽 문제에 의해서도 혈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고지혈증, 간 질환은 혈뇨와 무관합니다. 우선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CT 검사도 도움이 될 것이며 방광경 및 요로조영술 같은 검사들이 필요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방광경은 요도를 통해 하는 것이 맞습니다. 우선 비뇨의학과 방문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잠혈 은요에서 철장이 있다는 얘기인데 혈액이 요에서 생기는 이유는 요로결석 방광염 요도손상 등이 있습니다 단순히 혈액이 보이는 것만으로 어떤 질병 진단 할 수 없습니다 비뇨기과에서 진료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육안으로는 혈액이 보이지 않으나 현미경으로 검사했을 때 피가 보이는 것 입니다. 흔한 것은 요로결석, 신장결석 등이며 물론 방광암일 수도 있지만 매우 희박합니다. 방광경 검사는 요도에 굵은 카메라를 넣어서 보는 것으로 좀 힘들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변을 원심분리하여 남은 침전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높은 배율에서 적혈구가 3-5개 이상 관찰되는 것을 말하며, 요로 감염, 요 결석,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를 하기 전에는 자각증상이 없어 모르는 채로 지내다 병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아무 증상이 없는 일반인도 일 년에 한 번 씩은 정기적으로 소변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변 내 적혈구 존재 유무는 요 침사 현미경 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소변 중에는 적혈구, 백혈구, 각종 세포, 세균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소변 중의 성분들을 검사하여 이상있는 부분을 확인하게 됩니다.

    현미경 한 시야에 적혈구가 0~2개이면 정상입니다.

    검사의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결과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적은 양의 혈뇨가 한 번 있었다고 해서 이상이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혈뇨는 생리, 감염, 알레르기, 운동 및 외상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혈뇨가 있거나 혈뇨의 양이 많을 때 그 원인에 대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비뇨기과적인 증상이나 아무런 증상없이 신체 검사에서 우연히 혈뇨가 발견되는 경우가 흔한데, 이때는 내과적 또는 비뇨기과적 조사를 하여도 특별한 병소를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현재의 진단 방법으로는 찾기 어려울 정도로 미세하거나 조기 병변일 가능성이 있고 별 달리 유의할 정도가 아닌 병소일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추적 검사를 해보면 대개는 더 진전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년 이후에 발견되는 무증상의 요 적혈구는 단백뇨나 요 침사상의 원주가 없다하더라도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고, 이상이 없다면 주기적인 요 검사로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변에 혈액에서 나오는 적혈구가 같이 검출 될 때 뇨잠혈이라고 합니다.

    대개는 피로로 인한 것이 많지만, 다른 신장쪽 기능이상에 의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으니,

    건강검진에서 추가 진찰이 필요하다고 안내해주시면 안내 하시는대로 검사를 한번 받아보시면 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세혈뇨(눈으로는 안 보이지만 현미경상으로 혈뇨)의 원인은 수 없이 많으며, 현대의학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검사를 다 한다 하더라도 30-40%는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미세혈뇨가 나오면 그것이 신장에서 소변이 만들어질때부터 나오는 것(신성 혈뇨)인지, 만들어질때는 이상이 없었는데 소변이 요관, 방광, 요도를 거치는 동안에 혈액이 섞였는지(비신성 혈뇨)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밀 검사를 받은 병원 담당 선생님과 상의해 보십시오.

    신성 혈뇨의 원인은 신장염이 가장 많고, 비신성인 경우는 종양, 결석, 결핵, 요로감염 등이 원인이 됩니다. 드물게 미세한 혈관 기형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안 하신 정밀검사에는 CT, 혈관조영술, 요 암세포 검사, 신조직 검사 등이 있으나, 이러한 검사는 비용과 고통이 따르므로 담당 선생님의 판단에 의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정기적인 추적검사로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도 흔히 하는 방법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변 검사에서 잠혈 양성으로 나온다고 해도 암인 경우가 흔한 것은 아니랍니다. 일단 소변 검사를 다시 해보고, 그래서 혈뇨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추가 검사를 진행하지요. 보통 CT 검사를 하고 필요에 따라 방광경 검사를 하게됩니다. 방광내시경은 요도를 통해 내시경이 들어가는 것 맞습니다. 이상지지혈증과 간장 질환이 있다고 해서 요잠혈이 나오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