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반도에는 왜 원숭이가 없는 것인가요?

일본을 가보면 원숭이가 살고 있고 중국에도 원숭이가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중간인 우리 한반도에는 원숭이가 없는데 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일본과 중국에는 야생 원숭이가 분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는 야생 원숭이가 살지 않는 이유는 기후, 지리, 역사적인 생물지리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데요, 원숭이는 대부분 온대~열대 지역의 숲과 산림에 적응한 잡식성 영장류입니다. 그러나 한반도의 겨울은 매우 춥고 건조하여, 원숭이가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일본에 사는 일본원숭이(눈원숭이)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까지 분포하는 유일한 종으로, 특이하게도 추운 겨울을 견디도록 진화했으며, 하지만 이와 같은 진화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의 원숭이 종은 한반도의 겨울을 이겨낼 생리적, 행동적 적응이 부족합니다. 또한 한반도는 북쪽은 산악지대와 만주 고원, 남쪽은 바다(동해, 서해, 남해)로 둘러싸여 있어 동물의 자연적인 이동이 제한적인데요, 일본원숭이는 빙하기 당시 육지로 연결된 일본과 한반도 사이를 통해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고립되었고, 중국 남부에서 한반도로 이동하려면 장거리 이동 또는 험준한 산맥을 넘어야 하므로 자연 확산이 어려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한반도는 겨울이 춥고 산맥이 많아 원숭이가 살기엔 기후와 환경이 불리하답니다.

    빙하기 이후엔 남하 못한 것도 이유랍니다.

  • 사실 과거에는 한반도에도 원숭이가 살았지만, 현재는 말씀하신대로 야생 원숭이가 서식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정확한 이유는 알지 못하며 그래서 다양한 가설이 있습니다.

    가장 유력한 가설은 기후변화입니다. 약 20만~30만 년 전 한반도는 아열대 기후로 원숭이가 살기에 적합했지만, 빙하기가 절정에 달하면서 급격히 추워진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했다는 설입니다. 일본으로 건너간 원숭이들은 상대적으로 따뜻한 남부 지역에서 생존하여 개체 수를 유지할 수 있었고, 추위가 풀린 후 북쪽으로 서식지를 확대했지만, 그때는 이미 한반도와 일본이 바다로 분리된 후였죠.

    그리고 일본원숭이는 과거 중국 대륙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 열도로 건너갔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빙하기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한반도와 일본이 바다로 단절되었고,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 멸종한 원숭이가 다시 유입되지 못했습니다.

    또한 한반도에는 호랑이나 표범 등 대형 육식동물이 많았고, 이런 대형 표식자에게 원숭이가 좋은 먹잇감이 되어 멸종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반면 일본에는 이러한 대형 고양이과 맹수가 없어 원숭이가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주장입니다.

    요약하자면, 한반도의 원숭이는 과거에는 존재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멸종했고, 이후 다시 서식하기 어려워졌다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한반도에 원숭이가 없는 이유는 빙하기 이후 상대적으로 춥고 건조한 기후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적 특성 때문에 원숭이가 확산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독특하게 설원 원숭이가 적응해 살아남았고 중국은 남부의 아열대 지역에 원숭이가 분포하지만 한반도는 이러한 조건을 갖추지 못해 원숭이의 서식지가 형성되지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한반도에 야생 원숭이가 없는 주요한 이유는 기후 변화와 맹수의 존재 때문입니다. 과거 빙하기 때의 추위로 인해 원숭이들이 한반도에서 멸종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호랑이나 표범과 같은 대형 육식동물의 먹잇감이 되어 개체수가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발견되는 원숭이 관련 기록이나 유적은 대부분 수입되거나 사육되었던 원숭이에 대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