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스펙트럼에서 헬륨선은 어디에서나 나타나야 하는 것 아닌가요?
별의 스펙트럼을 보면 온도가 낮은 K형과 M형에서는 스펙트럼에 헬륨선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헬륨은 별을 구성하는 기본원소인데 왜 안 나타나나요? 첨부된 문제의 ㄴ은 맞는 진술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별의 스펙트럼에서 헬륨선이 모든 별에서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온도에 따라 헬륨의 흡수선이 나타나는 조건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헬륨은 별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 중 하나이지만, 스펙트럼에서 헬륨선을 관찰하려면 특정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헬륨선은 별의 표면 온도에 크게 의존하여 나타납니다. 헬륨 원자가 스펙트럼에 나타나려면 헬륨의 원자나 이온 상태가 특정한 에너지를 가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별의 온도가 적절히 높아야 합니다. 고온의 별에서는 헬륨이 이온화되기 때문에 스펙트럼에서 헬륨의 흡수선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형과 B형처럼 온도가 25,000K 이상인 별들에서는 헬륨이 강하게 이온화되어, 헬륨 흡수선이 잘 나타납니다. 이 경우, 헬륨선은 분명하게 스펙트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저온의 별에서는 헬륨이 거의 이온화되지 않습니다. K형과 M형 별은 표면 온도가 5,000K 이하로 낮기 때문에 헬륨이 이온화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남아 있어, 스펙트럼에 헬륨 흡수선이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헬륨 원자가 충분히 에너지를 받지 않기 때문에, 스펙트럼에 특유의 선이 형성되지 않는 것입니다. 헬륨이 별의 구성 요소이지만, 모든 별에서 스펙트럼에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헬륨의 이온화 에너지와 관계가 깊습니다. 헬륨의 이온화 에너지는 매우 높기 때문에, 헬륨이 스펙트럼에 흡수선을 만들려면 별의 온도가 그만큼 높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헬륨은 별의 대기에서 흡수선으로 관찰되지 않게 됩니다. K형과 M형 별은 온도가 낮아 헬륨이 충분히 에너지를 받지 못하고, 흡수선을 형성할 수 없게 됩니다. K형과 M형 같은 저온 별에서는 스펙트럼에서 헬륨 대신 수소,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른 원소들이 지배적인 흡수선을 형성합니다. 별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주로 수소 흡수선과 금속 흡수선이 눈에 띄게 관찰되며, 이 때문에 헬륨 흡수선은 덜 두드러지게 보이거나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