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나무 밑동이나 죽은 동물사체 등에서 자라는 버섯을 식물로 분류하나요?

버섯은 통상적으로 나무껍질, 낙엽, 나무 밑동, 동물의 사체 등 죽어 가는 생물에서 자라면서 영양분을 얻는다는 데 버섯을 식물로 분류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버섯을 식물로 분류하는 것은 흔한 오해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버섯은 식물과 다른 독립된 생물 분류군인 균류(Fungi)에 속합니다. 버섯은 균사체(mycelium)라고 하는 균사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성장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토양이나 죽은 유기물 속에서 발견됩니다.
    식물과 버섯의 주요 차이점은 영양분을 획득하는 방식에 있습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자체적으로 영양분을 만들어내는 반면, 버섯은 헤테로트로피(생명체 유기체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영양분을 획득하는 방식)를 통해 살아가며, 죽은 유기물이나 다른 생명체에서 영양분을 얻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버섯은 분해자(decomposer)로서의 역할을 하며, 생태계에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재활용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버섯을 식물이 아닌 균류로 분류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정확하며, 이는 버섯이 생물 분류학적으로 식물과 매우 다른 생태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아니요, 버섯은 식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버섯은 균류에 속하는 생물로 식물, 동물과는 완전히 다른 독립된 생물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버섯이 식물이 아닌 이유는 다른 식물과 같은 특징이 없습니다.

    식물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들 수 있지만, 버섯은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할 수 없습니다. 대신 버섯은 다른 생물체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양분을 얻는 부생생활을 하거나,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양분을 섭취하는 기생생활을 합니다.

    또 식물의 세포벽은 셀룰로스로 이루어져 있지만, 버섯의 세포벽은 키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버섯이 나무 밑동이나 죽은 동물 사체에서 자라는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풍부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양분을 얻기 때문입니다. 버섯의 균사체는 흙 속이나 나무 속 깊숙이 퍼져나가 유기물을 분해하고, 적절한 환경이 되면 우리가 흔히 보는 버섯의 자실체를 형성합니다.

    정리하면, 버섯은 식물이 아니라 균류에 속하는 독립된 생물이며,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고 다른 생물체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살아가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버섯은 식물과 다르게 세포벽이 키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식물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져있습니다

    버섯은 광합성을 하지 않고, 주로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부패균입니다. 이는 식물과 큰 차이를 보이는 점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버섯은 식물이 아니라 균류(균계)로 분류됩니다. 버섯은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식물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죠. 

    1명 평가
  • 버섯은 식물이 아닌 균류로 분류됩니다. 버섯은 광합성을 하지 않고, 나무 밑동이나 죽은 동물 사체 같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 특징이 있어 식물과는 다른 생물군에 속합니다. 균류는 독립적인 생물 군으로, 생물 분류학적으로 식물, 동물과는 별개로 다룹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버섯은 식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버섯은 균류에 속하며, 식물과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