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는 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지 과학적 원인이 궁금합니다
살면서 단순하게 가까이에 있으면 같은 크기의 소리도 더 크게 들리고 점점 멀어지면 소리는 점점 더 작아지게 됨을 몸으로 느끼며 살아가게 됩니다. 아 그냥 당연하니까 하고 살아왔지만 그 과학적 이유가 너무 궁금해져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란 공기를 압축 팽창시키는 진동을 만들어 전달됩니다. 공기의 압축 진동 과정에서 손실되는 정도가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공기가 가만히 존재하면 좋지만 바람이나 공기의 흐름에 의해 사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죠.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날 목소리가 잘 안들리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바람에 의해 공기의 진동이 금새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진동으로 전파되는데, 진동은 에너지의 형태입니다. 진동이 공간을 통과할 때, 진폭이 감소하면서 에너지도 점차적으로 분산됩니다. 이는 소리의 진폭이 감소하고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공간 확산은 소리 파동이 퍼지는 공간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소리 파동은 일정한 에너지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면적이 증가하면 에너지는 면적에 분산되어 소리의 강도가 약해집니다. 이로 인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소리가 작아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공기의 흡수 역시 소리의 감쇠에 영향을 줍니다. 소리는 공기 분자들 사이를 전파하는데, 공기 분자들은 일부 에너지를 흡수하고 소리의 진폭을 감소시킵니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소리가 더 길게 여러 번 흡수되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의 크기는 소리의 발생 위치와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리가 발생한 위치에 가까울수록 소리가 크고 소리가 발생한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소리가 작습니다 소리가 발생한 위치와 거리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달라지는 이유는 소리의 파동이 공기 중에서 퍼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소리의 파동은 공기 중에서 퍼져나가면서 에너지를 잃습니다. 따라서 소리가 발생한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소리의 크기는 작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