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미국의 전 대통령 워런 하딩에 대해 질문합니다.

미국의 전 대통령이었던 '워런 하딩'에 대해 궁금합니다.

그의 일생과 재임 기간 중 어떠한 업적이나 사건이 있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워런 하딩의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립주의를 표방한 그로서는 아이러니한 사실이지만,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하딩의 최대 업적은 세계 최초의 군축조약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은 것이다. 이 조약 덕분에 미국은 영국과 함께 세계 1위의 해군력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해군력을 억제하는데 성공하여, 1923년 경에 미국과 일본 간의 무제한적인 해군군비경쟁으로 인해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수많은 억측들을 (최소한 20년 가까이) 잠재웠다.

    또한 군축회의와 병행하여 진행한 일련의 회담을 통해서 일본이 팽창하는 뒷배경으로 사용되었던 영일동맹을 해체시키고, 베르사유 조약의 21개조 요구 이래 일본이 중화민국에서 무제한적으로 팽창하는 사태를 저지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일본이 차지한 산둥성내 독일 이권을 베르사유 조약과는 반대로 중국에게 반환시키고, 중국시장에 있어서 '기회균등의 원칙'을 내세워서 일본의 중국침략을 일시적이나마 저지시키는 9개국 조약을 성사시킨 일이었다. 하지만 2차 호법운동을 전개하던 쑨원의 지원 요구에는 북양정부를 정통으로 보았기 때문에 가차없이 거절했다.

    그리고 막장 이미지와는 달리 대단히 좋은 일을 하나 하려고 했는데 바로 국가 차원에서 1차대전 참전용사들을 돌봐주려고 한 것. 당시까지 미국에서는 이런 전례가 없었고 미국 독립 전쟁이나 남북전쟁 때와는 달리 1차 대전 참전자들에게는 연금이나 기타 혜택도 없었다. 하딩이 이를 위해 Veterans Bureau[22]를 세우고 병원도 지어서 참전용사들을 지원해주라고 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문제는 그 첫 국장으로 앉힌 인물인 찰스 포브스가 비리와 부패의 일인자였다는 것.

    친구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바람에 얼마 안되는 업적은 잊히고 오명만이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1960년대 이후부터 지금도 종종 재평가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워낙 쌓아온 이미지가 커서... 그리고 민주당 슈퍼스타 대통령 사이에서 공화당 막장정권의 시작을 끊어 평가가 더욱 박하다.

    허나 인사를 꼭 막장으로 한 것만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전직과 미래의 대통령에 대한 인사가 기가 막혔는데, 연방 대법원장에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상무장관에 허버트 후버를 앉혔다. 둘 다 대통령 시기가 나쁠 뿐이지 나름 능력자였기에 각자의 분야에서 꽤 괜찮은 업적을 남겼다.

    출처: 나무위키 워런 G 하딩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워런 개멀리얼 하딩 (Warren Gamaliel Harding,

    미국의 29번째(제34대) 대통령(1921~23). 그리고 임기 중 사망

    1921년부터 1923년 강점기인데 한국방문을 어떻게 하나요

    한국방문한 미국대통령

    1960년

    미국의 34대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미국의 역대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첫 방문은 6.25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당선자 신분으로 방문한 것인데요. 6.25 전쟁 종식을 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됐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당시 이승만 한국 대통령과 회담하고 최전선을 둘러보기도 했습니다.

    1966년 36대 린든 존슨 대통령은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국빈 방문 형식으로 한국방문

    1974년 방한한 38대 제럴드 포드 대통령

    1979년 카터 대통령의 방한

    1983년 11월 한국을 국빈 방문한 40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1989년 미국의 41대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노태우 대통령의 초청

    1993년 미국의 42대 빌 클린턴 대통령은 집권 기간 모두 세 차례 한국을 방문

    1996년 빌 클린턴 대통령두 번째 방문

    1998년 빌 클린턴 대통령 세 번째로 방한

    2002년 미국의 44대 조지 W.부시 대통령

    2005년 2차 방문

    2008년 3차 방문

    44대 바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역대 가장 많은 네 번에 걸쳐 한국을 방문한 미국 대통령입니다. 2009년과 2010년, 2012년과 2014년

    2017년 45대 도날드 트럼프대통령 2017. 11. 6.국빈방한

    2019년 6월29~30 방한 JSA 방운 김정은과 회담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워런 허딩은 미국의 29번째(29대) 대통령(1921~23)이자 임기 중 사망한 여섯번째 대통령입니다. 그는 아프리카 계 미국인의 공정한 대우를 위해 싸운 대통령중 하나인데 하딩은 아프리카 계 미국인이 폭력을 당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 했고 그는 또한 백악관과 컬럼비아 특별구에서 인종 차별 철폐를 명령했다고 합니다. 또한 여러 나라와 조약을 맺었습니다. 이런 것 중에는 전함 생산을 10 년 간 중단 하기로 한 5 개국 조약, 태평양 소유와 제국주의에 ​​초점을 맞춘 4 개 조약 및 중국의 주권을 존중하면서 개방 정책을 성문화 한 Nine Powers 조약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립주의를 표방한 그로서는 아이러니한 사실이지만,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하딩의 최대 업적은 세계 최초의 군축조약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은 것이다. 이 조약 덕분에 미국은 영국과 함께 세계 1위의 해군력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해군력을 억제하는데 성공하여, 1923년 경에 미국과 일본 간의 무제한적인 해군군비경쟁으로 인해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수많은 억측들을 (최소한 20년 가까이) 잠재웠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