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3.01

장난감중 슬라임은 무슨 원리인가요?

요즘 아이들 장난감중 슬라임이라고 말랑말랑한 만지고 노는 장난감을 애들이 좋하는데 이런 말랑이 슬라임 장난감은 어떤 화학덕 원리로 만드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말랑말랑한 슬라임은 주로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높은 분자 화합물인 슬라임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사용되는 원료 중 일반적인 구성 요소는 흰색 접착제 (PVA), 소다 (Sodium Borate 또는 Borax), 그리고 다양한 색소나 향료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말랑이 슬라임 장난감은 대개 PVA와 유기용제, 염료,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집니다. PVA는 점착력이 강하고 물과 잘 혼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용제는 슬라임의 말랑함과 탄성을 제공합니다. 염료는 슬라임의 색상을 결정하며, 물은 재료를 혼합하고 슬라임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슬라임 장난감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대개 PVA와 유기용제, 염료, 물을 섞은 후,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재료를 넣어서 슬라임의 맛이나 냄새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재료들은 대개 안전한 재료이며, 장난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즘 아이들이 좋아하는 말랑말랑한 슬라임 장난감은 주로 폴리머라는 화학 물질로 만들어집니다. 폴리머는 장난감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과 붙이는 역할을 하는 붙합제 그리고 색깔을 입히는 염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이 섞이면서 슬라임이 말랑말랑한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슬라임 장난감은 그리고 노력성이 있는 물질로서 손으로 만지면서 늘어나고 끌어당기면서도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폴리머 분자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리고 슬라임 장난감은 물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해도 부패되지 않고 장난감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 후에는 깨끗하게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말랑말랑한 슬라임 장난감은 폴리머라는 화학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장난감으로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슬라임은 붕사와 PVA (폴리비닐알코올)이라는 두 가지 화학 물질의 반응으로 만들어집니다. 붕사는 수용액 상태에서 음이온을 형성하고, PVA는 양이온을 형성합니다. 이 두 이온이 서로 결합하면서 똣됫한 망 구조를 만들고, 그 안에 물 분자가 갇히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망 구조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만지면 말랑말랑하고 탱탱한 느낌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슬 구조의 PVA는 끈끈하며,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PVA 사슬 중 일부가 붕사에 들어있는 붕사 이온(Borax ion, B(OH)4-)과 수소결합을 형성하면 그물 구조가 만들어져 그물 구조 사이사이에 수분을 가둘 수 있게 되며, 좀 더 응고된 콜로이드이자 하이드로젤 형태를 지니게 되고, 탄성이 증가한다. 이것이 바로 슬라임이다.첨가물 역시 붕산 이온과 결합하여 슬라임이 만들어진다.슬라임의 제형은 수분 함량, 그리고 얼마나 많은 PVA 사슬이 붕산 이온과 결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붕산 이온이 너무 적게 첨가되면 결합 수가 적어 흐물흐물하고 손에 잘 묻게 되며, 너무 많이 첨가되면 결합 수가 많아 딱딱한 간이 탱탱볼이 만들어진다. 또한 산성도 역시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이유로 염기성인 붕사물이 아닌 다른 붕산 이온이 포함된 재료(소프트렌즈 세척액 등)를 사용해야 할 때는 용액을 염기성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추가로 넣어주어야 한다. 반대로 굳어진 슬라임에 식초 등의 산성 용액을 넣어서 결합을 끊어주어 슬라임을 다시 부드럽게 만들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온도도 제형의 결정 요인 중 하나다. 온도가 높으면 슬라임이 부드러워지며, 온도가 낮으면 슬라임이 딱딱해진다. 하지만 보통은 슬라임이 실온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온도는 큰 고려 요인이 아니다.

    출처 : 나마위키 - 슬라임(장난감)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슬라임은 점탄성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체입니다. 점탄성은 액체의 끈끈한 성질인 점성과 고체의 변형된 모양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인 탄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물체입니다. 슬라임을 꽉 잡으면 고체처럼 단단해졌다가 힘을 빼면 액체처럼 흘러 내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슬라임은 주로 접착성이 있는 고무 또는 젤리 형태의 재료로 만들어진 장난감입니다. 슬라임은 주로 굳은 상태에서 끌어당기면 늘어나는 점탄성을 가지고 있어 유연하게 움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슬라임은 만지면 붕붕거리는

    독특한 질감으로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이 신비로운 슬라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슬라임의 탄생 비밀을 화학적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끈적끈적한 액체 형태의 고분자로 슬라임의 기본 골격을

    형성합니다.

    백색의 결정체로 PVA와 반응하여

    슬라임의 탄성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PVA와 붕사를 녹이고 슬라임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원하는 색깔을 입히기 위해 사용됩니다.

    달콤한 과일향등 다양한 향을

    입히기 위해 사용됩니다.

    글리세린 베이킹 소다 콘스타치 등

    슬라임의 질감을 더욱 부드럽게 만들거나 빛나는

    효과를 주는 데 사용됩니다.

    PVA는 물에 녹아 긴 사슬 형태의

    고분자 용액을 만듭니다.

    붕사를 용액에 첨가하면

    붕사 이온(B(OH)4-)이 PVA 사슬과 결합합니다.

    붕사 이온은 PVA 사슬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하여 3차원적인

    그물망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그물망 구조는 물을 가두고 탄성을

    제공하여 슬라임의

    독특한 질감을 만들어냅니다.

    물을 더하면 슬라임이 묽어지고 물을

    줄이면 슬라임이 뻑뻑해집니다.

    붕사를 더하면 슬라임이 더 탄탄해지고

    붕사를 줄이면 슬라임이 더 부드러워집니다.

    글리세린은 슬라임을 더 부드럽게 만들고

    베이킹 소다는 슬라임을 더 탱글탱글하게 만들고

    콘스타치는 슬라임을

    더 퍼프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슬라임의 주요 성분인 PVA와 붕사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물질로 분류됩니다.

    일부 사람들은 붕사에 민감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이나 흡입 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들이 슬라임을 가지고 놀 때는 성인의

    감독 하에 사용하고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슬라임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붕사는

    눈에 들어가면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전 고글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슬라임은 단순한 장난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해소 도구 손 운동 도구 예술

    활동 재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화장품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슬라임의 응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슬라임은 화학 반응의 신비를 경험하고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장난감입니다.

    안전하게 사용하고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면 더욱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3.01

    안녕하세요. 슬라임의 제형은 수분 함량, 그리고 얼마나 많은 PVA 사슬이 붕산 이온과 결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붕산 이온이 너무 적게 첨가되면 결합 수가 적어 흐물흐물하고 손에 잘 묻게 되며, 너무 많이 첨가되면 결합 수가 많아 딱딱한 간이 탱탱볼이 만들어진다. 또한 산성도 역시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이유로 염기성인 붕사물이 아닌 다른 붕산 이온이 포함된 재료(소프트렌즈 세척액 등)를 사용해야 할 때는 용액을 염기성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추가로 넣어주어야 한다. 반대로 굳어진 슬라임에 식초 등의 산성 용액을 넣어서 결합을 끊어주어 슬라임을 다시 부드럽게 만들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온도도 제형의 결정 요인 중 하나다. 온도가 높으면 슬라임이 부드러워지며, 온도가 낮으면 슬라임이 딱딱해진다. 하지만 보통은 슬라임이 실온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온도는 큰 고려 요인이 아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슬라임은 끈적끈적한 물풀을 만들 때 사용되는 재미있는 물질입니다. 이 끈적끈적한 물풀은 어떤 과학적 원리로 만들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PVA (Polyvinyl Alcohol): 슬라임의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PVA는 물에 녹아 액체 상태로 변하며, 슬라임을 끈적끈적하게 만들어줍니다.

    2. 붕산 이온: 붕산 이온은 슬라임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물과 붕산 이온이 반응하여 슬라임이 고체처럼 뭉쳐지게 됩니다.

    3. 염기: 슬라임을 만들 때 렌즈 세척액을 사용하는 경우, 염기성인 베이킹소다를 함께 넣어줍니다. 염기성 용액에서 수산화기를 더 많이 내놓아 더 많은 붕산 이온과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슬라임은 이러한 화학적 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며, 안전한 재료를 사용하여 슬라임을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