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적인 것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는 어떤식으로 교육하면 좋을까요?
아이는 독서하고, 클레이로 만들기하는 등의 상대적으로 정적인 활동들 위주로 하려하고 있습니다. 사회성이 부족한것은 아니지만 밖에 나가서 뛰어놀며 친구들과 놀았으면 하는 바람에 괜찮은건지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활동적이지 않은 아이에게 새로운 활동을 시도해 볼 기회를 제공하되, 강요하지 않도록 하세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활동을 즐기게 될 수 있습니다. 점차적으로 사회성과 신체 활동이 균형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독서와 클레이 만들기와 같은 정적인 호라동은 창의력과 집중력을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시에 신체 활동과 친구들과의 놀이도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아이에게 외부 활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마다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활동적이지 않다고 너무 걱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가벼운 산책부터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산에도 올라가고, 곤충 채집도 하면서 조금씩 신체 활동을 장려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향에 따라서 활발하게 놀기도 하고 조용히 놀기도 합니다. 이는 아이들이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것으로 바꾸는게 쉽지는 않을겁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에는 밥을 많이 먹고 활동을 해줌으로써 성장을 더 잘 하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조용히 노는 아들의 경우에도 본인이 좋아하는 분야를 찾아줘서 흥미를 유발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렇게 해주시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활동적으로 놀게 될겁니다. 이는 우리 아이를 위해서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관리를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활동적인것을 좋아하게하려면 서서히 접근하는게좋을거같습니다 작은 활동부터 시작하며 점점 활동적인 걸 하도록 유도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활동적인것을 좋아하지않는 아이는 몸을 조금씩 움직이며 할수있는걸 조심씩 시도해보는것이 좋을거같아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상당히 많은 변화가 오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신적이건 신체적이건 꽤나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데요. 아이의 이러한 자연스러운 변화를 존중해주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유치원에서 아이가 별다른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는 가정하에 드리는 말씀이긴 합니다 문제가 있다면 담임선생님께서 분명 부모님들에게 연락을 취하셨을 텐데요. 그렇다면 아이는 지금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탐색하고 깨달아가고 있는 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이가 정적인. 활동을 좋아한다는 것이 무조건 잘못되었고 부정적인 것은 결코 아닙니다. 그것은 그냥 우리 아이의 성향이기 때문이죠. 다만 걱정하시는 게 아이가 활동 자체를 잘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라면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약속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일주일에 한 두번 정도는 밖에 놀이터에 가서 엄마 아빠와 신나게 놀거나 주말에는 캠핑이나 여행을 함께 가자고 제안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