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취업을 시도하지 않고 이유 없이 쉬는 청년(NEET) 문제 해결방안은 무엇일까요?

NEET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 고용 정책은 어떤 모습일까요? 청년들의 일, 학습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안전망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청년층들이 취업을 시도하지 않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 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예전에 비해 공채 대신 수시채용을 주로 하고 있으며, 채용 규모도 줄다보니 취업에 대한 활력을 잃어버리는 것 같습니다. 과거 역사에서 경제가 침체에 지속적으로 빠지듯이 말이죠.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이 우선되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결국 해당 청년이 스스로 알을 꺠고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가정의 문제인지, 또는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면접에서의 지속적인 탈락으로 인한 것인지 등도 확인할 필요가 있고, 자신만의 기준에 따라 특정한 직군이나 급여는 관심없다는 것은 결국 사회적인 인식과 더불어 개인의 인식의 변화도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들이

    구직을 하는 등에 금전적 지원과 더불어서

    양질의 일자리 확보를 하여야 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취업을 시도하지 않고 이유 없이 쉬는 청년 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일하시 싶어할 수준의 월급과 복지가 있는

    그런 기업들이 많이 생기게 되면 해결될 수 있겠지만

    그렇게 되기가 쉽지 않기에 어려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들의 구직, 교육 참여를 유도하려면 맞춤형 직업 훈련과 기본소득, 고용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단순 지원금 보다 사회 참여 경험을 확대해 복귀 유인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유 없이 취업을 시도하지 않는 청년 문제는 원인 파악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심리적 어려움, 자기효능감 저하, 진로 불확실성 등을 상담과 멘토링으로 지원하고, 직업훈련 및 체계적 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권장해야 합니다. 사회적 관심과 맞춤형 정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취업을 했을 때의 기대효용이 현상태보다 명확히 높아야한다는것입니다.

    기본급부적 지원제도들이 일부 조건부로 되어 취업 연계가 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니트족의 증가 이유는 연령이 증가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니트가 되기 쉬운데, 나이가 들수록 구직 의지가 낮아지고 높은 학력에 비해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인데요. 정부 지원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이고, 학문 외 자신의 흥미를 찾고 장래 희망을 실현할 수 있는 기업 탐색 교육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