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것은 저항 밖에 없나요?? 아니면 다른 뭔가 있나요??내부 저항에 의해서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것은 저항 밖에 없나요?? 아니면 다른 뭔가 있나요??내부 저항에 의해서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에너지를 열로 온전히 바로 바꿔서 사용할수 있는건 저항에 의한 열입니다. 그게 직접적인것이고 그 외에 자외선이나 마이크로파를 활용해서도 열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바로 열을 사용하는 것들은 보통 저항을 활용한 열을 사용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를때 전류와 저항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가 열로 변환이 됩니다. 이것을 줄열이라고하죠! 즉 저항이 있는곳에서는 무조건 전기에너지가 열로 변환이 됩니다. 단순 저항떄문에 열로 발생하는것이 아닌 모터 트랜스 반도체 내부저항 자기 손실 전자기손실 등등 다양한 경로로 전기가 열로 바뀝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은 저항에 의한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됩니다. 실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기밥솥이나 전기매트 등도 모두 저항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발열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인덕션에서는 유도전류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지만 이것도 결국에는 금속 용기에 유도전류를 흐르게 하여 금속 자체의 저항으로 인해 가열이 되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열을 내는 방법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자기장을 이용한 가열 방식도 있는데 유도가열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곳이 우리가 자주 쓰는 인덕션입니다. 인덕션이 전자기 유도 현상을 기반으로 가열을 하는 시스템이라, 인덕션 전용 용기를 쓰는 이유가 바로 그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전기 에너지가 열로 바뀌는 것이 대표적인 방식이 저항 가열입니다. 물론 그것만 있는 것은 아니구요. 전자기 유도에 의해서 유도 가열하는 방식도 있고,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전 손실 가열도 있습니다. 전기장이 재료 분자를 진동시켜 생기는 유전체 가열같은 방법들도 있죠.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사용 시 저항이 발생하는 이유는 전류가 도체 내부 원자와 충돌하면서 운동 에너지가 열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줄열이라고 하며 전선의 재질과 두께,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대표적인 방식은 저항 발열이지만 이것만 있는 건 아닙니다 마이크로파 가열 유도가열 아크 방전 반도체의 누설 전류 등도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하는 원리로 활용됩니다 즉 단순한 저항 발열 외에도 물질의 전자기적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가 열로 바뀔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되는 원인은 주로 저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는 줄의 법칙으로 전류가 물질을 통과할 때 그 물질 내부의 원자들이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 역할을 합니다.
이는 마찰에 의한 열 발생과 비슷한 개념으로 전자가 저항 물질의 원자들과 충돌하여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며 이로 인해 원자들의 진동과 움직임에 따라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항은 저항체 내 충돌과 운동에너지 손실로 인해 저항 외에 별도의 원인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전기에너지가 열로 바뀌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말씀하신것 처럼 저항에 의한 줄열입니다. 하지만 꼭 도선의 저항만 있는것은 아니고 전기를 이용해 열을 내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전자기파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가열, 전기장이 물질 내부 분자를 진동시켜 생기는 유전체 손실열, 자기장을 빠르게 변화시켜 금속에 와전류를 발생시켜 가열하는 유도가열 등이 있습니다 결국 전기는 저항 뿐 아니라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열로 전환될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