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발표 결과?어떤가요
오늘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한거로 아는대 어떤결과인지 궁금해요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떻게 계산되고 수치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궁금합니다.
어느정도 수치여야 안정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상치는 8.1%였는데요. 실제로는 8.3%로 발표되면서 미국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물가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인식때문인데요. 결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더 오래 동안 할 수밖에 없다는 시그널로 시장은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물가가 잡힐 때까지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CPI를 발표하였으나, 8.3%로 발표되었습니다.
연준의 목표는 2%로 잡고 있습니다.
시장의 예측치인 8.1%보다 높아 각 자산시장의 하락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CPI와 같은 경우 미국 전체 및 세부 지역 별로 소비재 및 서비스 시장에 대해 도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변화를 측정하여 계산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8월 CPI : +8.3% YoY
미국 8월 CPI : 0.1% MoM
미국 8월 근원 CPI : +6.3% YoY
미국 8월 근원 CPI : +0.6% MoM
전부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치로 달러가 급등하고 증시가 급락중입니다. 기름값과 중고차값은 빠졌지만 음식값과 임대료, 의료비 등이 올라서 상쇄시켜버렸습니다. 특히 식료품비는 +11% 상승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8월 CPI는 전월대비 0.1%, 전년동기대비 8.3% 상승했고 이는 시장 예상치(8.1%)를 뛰어넘은 수치입니다.
CPI 산정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kostat.go.kr/incomeNcpi/cpi/cpi_cp/1/7/index.action
미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와 빅스텝(0.5%, 50bp) 보다는 자이언트 스텝(0.5%, 75bp)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 정부도 모니터링 강화 등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91356966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20913/115421562/1
CPI에 대한 적정 수준은 1~2% 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金利, interest rate)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을 말합니다.
한국은행에서 안내하고 있는 기준금리 변경(통화정책 효과의 파급)에 관한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변경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파급경로는 길고 복잡하며 경제상황에 따라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변경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나 그 파급시차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하여 통화정책의 효과가 파급된다고 할 수 있다.
금리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단기시장금리, 장기시장금리,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 등 금융시장의 금리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콜금리 등 단기시장금리는 즉시 상승하고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도 대체로 상승하며 장기시장금리도 상승압력을 받는다. 이와 같은 각종 금리의 움직임은 소비, 투자 등 총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 상승은 차입을 억제하고 저축을 늘리는 한편 예금이자 수입 증가와 대출이자 지급 증가를 통해 가계의 소비를 감소시킨다. 기업의 경우에도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금리 상승은 금융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투자를 축소시킨다.
자산가격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는 가계의 자산, 즉 부(wealth)의 감소로 이어져 가계소비의 감소 요인이 된다.
신용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은행의 대출태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은행은 차주의 상환능력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이전보다 대출에 더 신중해질 수 있다. 이는 은행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의 투자는 물론 대출자금을 활용한 가계의 소비도 위축시킨다.
환율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여타국의 금리가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나라의 금리가 상승할 경우 국내 원화표시 자산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해외자본이 유입될 것이다. 이는 원화를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의미이므로 원화 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원화 가치 상승은 원화표시 수입품 가격을 하락시켜 수입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외화표시 수출품 가격을 상승시켜 우리나라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수요를 감소시킨다.
⇒ 이러한 여러 경로를 통한 총수요, 즉 소비·투자·수출(해외수요)의 변동은 다시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 상승으로 인한 소비, 투자, 수출 등 총수요의 감소는 물가 하락압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환율경로에서는 원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원화표시 수입물가의 하락이 국내 물가를 직접적으로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대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킨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된다.
통화정책 효과의 파급
한편 오늘날과 같이 세계경제의 통합이 급속히 진전되고 경제구조와 경제주체의 행태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또 현재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의 파급경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수시로 파악하고 있으며 통화정책의 효과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cpi지수는 8.3프로 예상치인 8.0프로를 넘어서 나스닥지수가 -5%넘게 하락하였습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을 2%대를 목표로 삼고 금리인상정책을 실시한다고 시사한바,이번달 연준의 자이언트급 이상의 금리인상에 힘이 실릴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