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모주 시장에서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확확을 매우 높게 잡던데 왜 그런거죠
우리나라 공모주 시장이 조금씩 바뀌는것 같아요 특히 기관이나 외국인
같은 경우에는 공모주 확약을 매우 높게 잡는것 같더라구요 왜 이렇게
갑자기 높게 잡는건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공모주 시장에서 상장 직후 '따따블' 기록 등 단기 수익률 기대치가 워낙 높아, 확약을 걸어 더 많은 물량을 더 배정받으려는 기관들의 유입이 커졌습니다. 금융 당국이 의무 보유 확약을 높게 제시하는 기관에게 공모주 물량을 더 많이 배정하도록 하는 제도적 인센티브를 강화하면서 경쟁적으로 확약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대형 연기금 등 기관 투자자의 자금력이 커지고 안정적인 고수익 상품 수요가 늘어나면서,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못해도 감수할 만큼 공모주를 매력적인 투자처로 보기 때문입니다. 확약 기간이 끝난 후에는 시장에 매도 물량이 대거 풀리면서 주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지만, 현재는 우선 물량을 확보하려는 경쟁 심리가 우세합니다. 이는 우량 공모주의 경우 상장 직후 주가가 높게 유지될 것이라는 시장의 강력한 자신감을 반영하는 현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기관에 비해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낮은 편인데요. 외국인 투자자들은 공모주 청약 물량을 많이 배정받아도 의무적으로 보유하는 확약을 잘 하지 않고, 상장 직후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국내외 기관 투자자 간의 형평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공모주를 확약을 높게 잡는 건 시장 회복과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심리 때문입니다.
특히 상장 후 주가 상승률이 높은 종목이 늘면서 단기 차익보다 장기 보유 전략으로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이나 외국인의 확약 비율을 높이는 것은 해당 공모주 가격의 안정화와 신뢰, 장기 투자 안정성을 확대하기 위함입니다.
최근 변동성이 커지고 글로벌 불확실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공모주 투자 전략도 바뀌어 가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만큼 해당 기업의 주식을 더 많이 보유하고 싶은 것입니다
과거에는 무조건 더 많은 청약을 하는 것이 유리했지만 현재는 의무보유 확약을
높여야 더 많은 주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 시장에서 기관이나 외국인들의 확약을 높게 잡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공모주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들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확약을
높게 잡은 것은 그 만큼 더 많은 공모주를 배정 받기 위한
방법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관 및 외국인투자자가 공모주 확약을 매우 높게 잡는 이유는 금융당국의 제도 변화 때문이에요.
단타 매매를 줄이고 장기 투자를 유도하려고 의무보유 확약 기관에 공모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가 강화된 거죠.
그래서 인기 있는 공모주를 더 많이 받으려면 경쟁적으로 확약 비율과 기간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겁니다. 특히 과거에 확약이 낮았던 외국인도 이제는 배정을 받기 위해 적극 참여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