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나무에 전기를 강하게 흐르게 하면 나무에 전기가 흐르면서 모양이 발생되는 걸 봤는데요. 어떤 원리로 모양이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나무에 전기를 강하게 흐르게 하면 나무에 전기가 흐르면서 모양이 발생되는 걸 봤는데요. 어떤 원리로 모양이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압이 강하면 부도체에도 강한 전압에 의해서 전기가 통하게 됩니다. 이때 전기가 통하는 길이 생기는데요. 이 길이 보통 수분이나 공기층등에 의해서 길이 발생됩니다. 나무또한 강한 전압에 의해서 전기가 흐르게 되는데 그 길을 생기게디고 그 길을 따라서 흐르게 되면서 그 길이 타면서 모양이 생기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고전압 전기를 흘리면 전기가 나무 내부의 수분이나 전기가 흐를만한 통로를 따라 흐르면서 탄화가 일어납니다. 말그대로 탄다는 거죠. 그러면서 타는 번개 모양의 무늬들이 하나의 예술작품처럼 만들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류는 결국 가장 저항이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불규칙하고 나뭇가지 같은 패턴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고전압 전기를 흘리며 전류가 나무 내부의 수분을 따라 흐르며 통로를 개척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해 나무를 태우거나 그을리면서 번개 모양의 패턴이 생깁니다 이는 전기가 나무안에서 방전될 때 주변 조직을 태우며 경로를 시각적으로 남기는 현상으로 마치 번개가 지나간 흔적처럼 나타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강한 전기를 흐르게 하면 프랙탈 형태의 문양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나무의 불규칙적인 구조와 전기 저항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전기를 강하게 흐르게 하면 전류가 나무 내부의 수분과 전기적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면서, 나무 표면이나 내부에 특정 모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전기 방전이 나무 표면에 불규칙한 패턴이나 모양을 새기거나,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따라 나무의 섬유 구조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전기를 강하게 흐르게 하면 전기가 지나가는 길이 타들어가면서 검은색 나뭇가지 같은 무늬가 생깁니다, 이건 고전압이 나무를 따라 퍼지면서 만들어지는 전기자국 이고, 보통 나무에 소금물 같은 걸 발라서 전기가 잘 흐르게 한 뒤에 만드는 방식입니다. 전기가 퍼지는 길이 자연스럽게 갈라지기 때문에 그런 모양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나무에 고압 전기가 흐르면서 타 들어가는 현상은 프랙탈 우드버닝 이라 하며,

    나무의 내부 구조는 섬유와 수분 등 때문에 전류가 저항이 가능 낮은 곳으로 흘러 불규칙 하게 표현됩니다.

    이는 타들어가는 부분이 저항이 더욱 낮아지기에 전류가 더 흐르며 해당 부위로 더 빨리 타 들어가게 됩니다.

    나무의 내부 다양한 요인으로 독특한 패턴이 생긴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