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당신에게행운이가득하길~

올 여름이 너무 더웠잖아요. 그렇다면 올 겨울은 안추울까요?

안녕하세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올해 여름이 역대급으로 더웠고 또 길었습니다. 제가 40년 넘게 살면서 이렇게 더웠고 길었던 여름은 처음 였던것 같네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올해 겨울도 많이 춥지 않을것 같은데 혹시 이번 겨울은 짧고 춥지도 않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 전체적으로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겨울이 따뜻하다고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지구 전체적인 기후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지구 온난화로 변화가 생기면 오히려 일부분에서는 더 추워지거나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여름은 가장 덥고, 겨울은 더 춥고 이런 상황이 생길수도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올해 여름이 역대급으로 길고 더웠던 만큼, 겨울에도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일반적으로 지구온난화는 전반적으로 기온을 상승시키지만, 이는 겨울이 반드시 따뜻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지구온난화는 또한 기후를 더 극단적으로 만들기도 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매우 추운 날씨를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겨울의 추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북극 진동과 제트기류입니다. 이 요소들이 어떻게 변동하느냐에 따라 겨울이 따뜻할 수도, 또는 갑작스럽게 추운 한파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북극 진동은 북극 주변의 기압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 패턴입니다. 북극 진동이 양성일 때는 북극의 찬 공기가 제트기류에 의해 갇혀 북극에 머물지만, 음성일 때는 이 찬 공기가 남하해 한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올해 겨울도 이 변동에 따라 한파가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제트기류는 대기 상층부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바람의 흐름으로, 북극과 중위도를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제트기류가 불안정해지면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내려와 한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제트기류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에 겨울 날씨 예측이 어려워졌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겨울이 전반적으로 예년보다 따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겨울이 이전보다 짧고 덜 추웠던 사례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는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겨울이 따뜻할 가능성이 있지만, 극단적인 기후 변화로 인해 일시적인 한파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겨울은 춥지 않을 수 있지만, 지역적 또는 일시적으로 강력한 추위가 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