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영화관람객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영화관람객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넷플릭스 디즈니등 OTT영향이 큰것 같더라구요.
이것외에 다른 원인이 있는지 궁금해요.
- 우리나라의 영화관람객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ott영향이 제일크고요 그다음은 요새 경기가 진짜 불경기라
소비심리가 다죽었습니다
질문처럼 ott 영향이 가장 크기는 합니다. 그 외에 영화 관람비가 너무 올라서 쉽게 영화관을 찾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정말 안정적인 영화만 선택해서 봅니다. 과거에 영화 관람비가 낮게 책정 되었을 때는 저 영화 괜찮겠네 하면 자연스럽게 영화관을 찾지만 지금은 선택의 폭이 좁아서 내가 정말 좋아하는 장르나, 배우가 아니면 영화관을 아예 가지 않습니다.
영화 관람은 보통 커플이 갑니다 요즘은 커플이 가기에도 부담스러운 가격 그리고 연애도 잘 안 한다고 하고요 집에서 혼자 ott 보는 것이 더 편한가 봅니다
영화관의 관객수가 줄어든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OTT의 공세와 함께 티켓값이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가볍게 보기에 티켓값이 너무 많이 올라 부담스러운 수준이니 어지간한 영화들은 OTT로 보게 되는 것이죠.
굳이 큰 스크린으로 영화감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관객들은 집에서 편하게 OTT로 다양한 영화를 보는 걸 선호하기도 하고요.
꼭 영화관에 가지 않더라도 여러 OTT를 통해 영화를 볼 수 있고 TV 화면 크기나 성능이 많이 좋아져서 영화관 느낌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영화관을 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남다른오릭스 74 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영화인들이 꼽는 원인으론 비싼 티켓값입니다.
그러다 보니 대중들 입장이 그냥 집에서 ott나 보면 되지 굳이 비싼 돈 주면서 까지 볼 필요 없다! 로 되었죠
안녕하세요. 정성들여서답변다는사람입니다.
네, 우리나라 영화 관람객 수가 줄어든 주요 원인 중 하나는 OTT 서비스의 성장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 다른 원인들이 있습니다:
영화 관람료 상승: 2017년 이후 영화관 평균 관람료가 28.7% 상승했습니다.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 10.3%를 크게 웃도는 수치입니다.
관객의 눈높이 상승: '기생충' 같은 작품으로 인해 관객들의 기대치가 높아졌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대작이라고 해서 흥행하는 공식이 통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영화의 다양성 부족: 스크린 독과점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영화를 볼 기회가 줄어들었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 팬데믹으로 인해 영화 관람 습관이 변화했고, 이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경제적 요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여가 활동에 대한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영화 관람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코로나때 집합시설들에 출입이 금지되고 제한되면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졌구요
말씀처럼 넷플릭스 같은 ott 서비스들을 접하게 되면서 더이상 극장에 가지 않아도
즐길만한 볼거리가 많아서 그런게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