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대범한애벌래285
대범한애벌래285

변동성완화장치는 한국만있나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급하게 주식이 상승하거나 하락할때 발동되는

변동성완화장치 vi는 우리나라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미국에도 지수에 대해서는 VI장치가 있습니다

    • 또한 일본과 중국에도 존재합니다

    • 변동성 완화장치가 우리나라에 특히 많은 편인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비중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이슈에 크게 흔들리면 시장 전체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사이드카나 서킷브레이커는 있습니다 사이드카나 서킷브레이커는 지수에만 해당하고 종목별로 우리나라처럼 변동성완화장치를 시행하는 국가는 저는 못들어봤습니다 상하한가 제도가 있는데 굳이 왜 해야하는지도 모르겠구요!

  • 변동성 완화장치는 개별 종목에 대한 체결 가격이 일정한 가격 범위를 벗어날 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 및 임의연장 30초의 냉각기간을 진행해 가격변동성을 완화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할 때 발생하는 투자자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시장에서도 적용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 미국 등에서도 변동성 완화장치로 서킷브레이커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것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는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변동성 완화 장치는 가격 안정화 장치의 일종류입니다.

    해외 증권거래소에서도 가격 안정화 장치는 채택하고 있으며, 변동성 완화 장치 외에 사이드카나 서킷브레이커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변동성 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 VI)는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증시에서도 사용되는 시장 안정화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다른 국가에서도 VI와 유사한 시장 안정화 장치가 존재하며, 각 국가의 증시 규제 기관이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니요, 변동성 완화 장치(VI)는 한국만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비슷한 기능을 가진 제도는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국가마다 제도의 명칭, 구체적인 작동 방식, 적용 대상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변동성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 VI)는 주식시장에서 급격한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도 유사한 장치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식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급격히 변동할 때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거나 가격 제한폭을 설정하여 과도한 가격 변동을 막습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다른 주요 국가에서도 비슷한 제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가가 특정 비율 이상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거래를 중단하는 장치입니다. 유럽의 여러 나라와 일본 등에서도 변동성 완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동성완화장치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제도로,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제도는 아닙니다. 이러한 장치는 전 세계적으로 주식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변동성 완화 장치인 VI는 주식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주식시장에 도입된 제도로서 시가가 전일 종가 또는 장중 직전 단일가 대비 일정 범위 이상 변동 될 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만 진행되는 방식인 정적 VI가 있으며, 일정 범위이상 변동될 경우 단일가 매매를 진행하는 동적 VI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5%이상 급락 급등하는 경우 브레이크가 적용되며 또한 상한가 하한가가 30%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외 주요 증시에서는 일중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할 경우 단일가 매매를 적용하는 제도인 변동성 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식시장 전체에 적용되는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나 사이드카(sIDECAR)와는 조금 다른데, 동적 vi와 정적 vi는 시장의 변동성을 관리하여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질문해주신 변동성 완화장치인 VI가 한국에만 있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변동성 완화장치는 한국 주식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해외 주식 시장에서도 있는 장치입니다.

  • 변동성완화장치(VI)는 우리나라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주식의 급격한 변동을 막기 위해 비슷한 장치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서킷 브레이커라는 제도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