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후 허하는낌이랑 소변이 자주 마려워요

2023. 11. 19. 19:00
성별 남성
나이 34세

식후 2시간쯤 지나면 허한느낌이 들어요 식욕은 없고 허한느낌만 들고

허한느낌은 있다없다 하다가 다음끼니 직전되면 확실하게 배고프다는 느낌이 듭니다.

점심식사 이후로는 거의 없고 아침 저녁에 있는 증상입니다.

그리고 소변이 너무 자주 마려운데 소변 보고 나서도 20~30분뒤면 바로 마려워요

빠를땐 거의 바로 마렵습니다.

물을 많이 마신거 아니면 소변양도 너무 적어서 참다가 2~3시간마다 소변 보는 정도로 참고 있는데

참는데 막 힘든건 없습니다. 그 정도 참고 화장실 가면 소변량은 평상시랑 비슷한 정도입니다.

이온음료류를 마시면 소변량은 더 늘고 간격도 짧아집니다.

다이어트하려고 몇달전부터 아침저녁은 그냥 평소 먹던대로 먹고 점심은 되도록 샐러드로 먹고

먹는양도 좀 줄이고 저녁에 운동도 꾸준히 하고 있었습니다.

간식도 줄였고 야식도 잘 안먹은지 좀 됐는데요

한 2~3주전부터 증상이 보였는데 일관적이지 않고 매일 다르다가

최근 몇일부터 일관성있는 증상이 계속됩니다.

이유가 뭘까요? 괜히 당뇨일까봐 좀 무섭기도 합니다 ㅠ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창원파티마병원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식후 허한감과 잦은 소변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당뇨병 : 당뇨병은 혈당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혈액 내 포도당이 많아지면서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잦은 소변과 갈증, 허기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당뇨병 전 단계 : 당뇨병 전 단계는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상태입니다. 당뇨병 전 단계에 있는 경우, 혈당 조절 능력이 다소 저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전 단계 환자도 잦은 소변과 갈증, 허기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과민성 대장 증후군 :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장 운동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는 경우, 복통, 설사, 변비, 가스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는 식후 소화 불량이나 허한감, 잦은 소변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 스트레스 : 스트레스는 소화 기능을 저하시키고, 혈당 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잦은 소변과 허기, 식후 불편감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 : 일부 약물은 소변 배출량을 증가시키거나, 식욕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 새로운 약을 복용하기 시작했다면,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다이어트를 시작한 이후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하셨습니다. 다이어트로 인해 식사량이 줄어들면, 소변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어트로 인해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의 경우, 다이어트로 인해 증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당뇨병이나 당뇨병 전 단계, 과민성 대장 증후군, 스트레스 등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3. 11. 19. 19:1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송도베스트내과 의원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당뇨병과 같은 내분비 질환은 식후에 혈당 수치가 높아지고, 고혈당 상태에서는 몸이 소변을 통해 과도한 당분을 배출하려 하기 때문에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술하신 증상 만으로 당뇨를 확진할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선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검사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2023. 11. 19. 19:0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