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미국 급등주는 어떻게 거래해야 하나요?

어제 미국 주식을 거래하면서 우여곡절이 많았는데요. 주식을 사자마자 20프로 하락했다가 버텼는데 나중에 올라서 이익을 보고 팔았는데 매번 이렇게 거래를 하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급등주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적인 시세에 휘둘리지 않도록 신중하게 거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매 타이밍을 잘 맞추려면 시장 흐름과 기업의 펀더멘털을 고려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주식을 거래 할 때는 쌀 때 사서(하락했을 때 사서), 비쌀 때 판다(상승했을 때 판다)의 원칙만 지키면 투자 승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질문자님께서 매수 하자 마자 20%가까이 하락한 것에 대하여 반등 하여 이익 실현 한것에 대하여 한가지 먼저 묻고 싶은게 있습니다.

    투자를 진행 하기 전에 손실률을 미리 정하고 들어가셨는지 아니면 단순하게 손실을 회피하는 것이 두려워 버티다가 이익 실현을 하셨는지? 만약에 후자라면 이번 수익은 운이 좋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는 오히려 현재의 수익이 미래에 독이 될 수도 있음에 우려가 됩니다. ㅠㅠ

    그 이유는 매번 이렇게 버티는 방법으로 거래를 하면 매매 리스크가 높아 장기적으로는 큰 손실을 초래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 입니다.

    이에 투자를 하기 전에 미리 손절, 익절 라인을 정해서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을 모색 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급등주라고 해서 다시 큰폭으로 하락한후 다시 전고점을 돌파못하는경우도 많습니다

    과거 사례에서도 이런 경우는 매우 많고 과거 코로나 이후 미국의 여러 플랫폼이나 스타트업기업들이 이런 90프로이상 장기하락추세를 맞은 기업도 수두룩해서 해당 법칙이 일반화되는 논리는 맞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국내 주식에 비해 변동성이 큰 경우가 많기도 합니다.

    거기다가 우량주가 아닌 급등주에 투자하셨다면 그러한 경우가 더더욱 많을텐데요.

    그럼에도 수익을 보셨다면 우선은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매번 수익을 보지 못할 수도 있으니 이러한 리스크가 있는 투자가 꺼려지신다면

    급등주보다는 우량주나 ETF 처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처를 고르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급등주는 어떻게 거래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런 경우 몇 퍼센트 오르면 소유한 것에 얼마

    또 이후에 오르면 소유한 것에 얼마 정도로

    분할해서 매도하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