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뜻이 무엇인디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전세, 매매 할 때 매매 뜻은 아는데 전세 뜻이 헷갈려요 정확하게 전세 뜻을 알고 싶어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정확하게 알려주실 분 계시나요 궁금합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의 집이나 방을 빌려 쓸 때 일정한 돈을 맡겼다가 내놓을 때 다시 찾아가는 것을 전세라고 해요. 집이나 방을 돈을 내고서 다달이 빌려 쓰는 것을 월세라고 해요. 전세는 다달이 돈을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는 달라요. 우리나라의 전세 제도는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전세 제도의 기원은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비롯되었다고 해요. 당시 부산,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를 개항하면서 일본이 머무는 곳을 만들고 농촌 인구가 이동하면서 서울의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어요. 집이 부족하게 되자 자신의 집을 마련하지 못한 사람들이 일정한 돈을 맡기며 다른 사람의 집에 들어가 살았던 것이지요. 이후 6·25전쟁과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의 주택난이 심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세 제도가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답니다.전세는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기본 2년, 최근 임대차 3법으로 인해 2+2년으로 최대 4년까지 집주인의 집을 사용할 권리를 넘겨받는 겁니다.
여기서 전세를 들어가 사는 세입자는 임차인이 되고, 집주인은 임대인 이라고 합니다.
집값이 오르던 내리던 맡겨둔 보증금 만큼 전세만기시 돌려받을수 있으며 무주택자의 권리를 유지할수 있어서 청약을 노리거나, 집값이 하락할것으로 예상되거나, 매매하기엔 자금이 부족하거나 등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전세를 사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