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타노스
타노스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어떤 질병 저항성을 가지게 하는지 그 영향에 대해서 자세하고 상세하게 그림도 있으면 좋을것같아요! 설명해주실 수 있나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전학과 면역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유전적 요인이 개인의 질병에 대한 취약성 또는 저항성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대표적인 예를 몇가지 들어 유전자 변이가 질병에 대한 저항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열거해드리겠습니다.
    지중해 빈혈은 혈색소의 이상 생산과 관련된 유전 질환이며, 특히 베타-탈라세미아는 이 질환의 일종입니다. 베타-탈라세미아 유전자 변이를 가진 사람들은 빈혈 증상을 보이지만, 이 변이가 말라리아에 대한 특별한 저항성을 제공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말라리아 원충이 적혈구를 감염시키는 데 있어 탈라세미아로 인해 변형된 적혈구는 원충의 생존과 번식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유전자 변이가 세대를 거치며 자연 선택의 결과로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인간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 HLA) 복합체는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정 HLA 유전자 변이는 특정 자가면역 질환에 대한 저항성 또는 취약성을 결정 짓습니다. 예를 들어, HLA-B27 변이는 강직성 척추염의 발병 위험을 높이지만, 다른 면역 관련 질병에 대해서는 보호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특정 유전자 변이는 질병 저항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CCR5 유전자에 있는 델타 32 돌연변이는 HIV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합니다. 이 돌연변이는 HIV 바이러스가 세포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여 감염을 예방합니다. 다른 예로는 SLC11A1 유전자 변이가 결핵균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결핵 발병률을 낮춥니다. 유전자 변이는 단백질 기능을 변화시켜 병원체의 침입을 막거나 면역 반응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복잡하고 여러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우선 특정 유전자 변이는 면역 체계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병원체 침입에 대한 반응을 방해하여 질병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CR5 유전자의 특정 변이는 HIV 감염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대로 다른 유전자 변이는 면역 체계를 강화하거나 병원체에 대한 특정 방어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CR2 유전자의 특정 변이는 HIV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특정 유전자 변이는 질병의 진행 및 심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방암 및 난소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돌연변이를 가진 여성은 질병이 더욱 공격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특정 유전자 변이는 특정 질병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OE 유전자의 특정 변이는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며,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 및 생활 방식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특정 유전자 변이가 개인의 질병 발병 위험이나 질병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가 질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자 변이는 우리의 면역 체계를 강화시켜 특정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유전자 변이는 세포의 대사 과정을 조절하여 특정 질병의 발병을 억제할 수도 있습니다.

    한 예로는 엽산 대사 관련 유전자 변이인 MTHFR 유전자의 변이가 있습니다. MTHFR 유전자의 변이는 엽산 대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변이는 체내 엽산 수준과 관련이 있습니다. 엽산은 DNA 합성 및 수리에 필수적이며, 충분한 엽산을 섭취하지 못하면 신체의 세포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전자 변이는 DNA 염기서열의 변화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단일 염기 대체, 삽입, 결실, 전좌 등 다양한 양상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이는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쳐 특정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겸형 적혈구 빈혈증은 11번 유전자의 단완에 위치하는 헤모글로빈의 베타 글로빈 유전자의 점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데요, 원래 글루탐산을 지정하는 아미노산이 발린으로 치환되면서 적혈구 '낫 모양' 형태가 되면서 산소 운반능력이 손상됩니다. 하지만 해당 질환을 가진 사람은 말라리아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